[PK 껴안는 청와대]노무현의원등에 '특별한 임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이 밝힌 동서화합형 정계개편은 좀 색다른 방식 같다.

정계개편의 전통적 방식은 '헤쳐 모여' 식이다.

그것이 여의치 못할 때는 의원들을 빼내가는 것이다.

그러나 金대통령은 이제 그런 방식을 취하려 하지 않는 것 같다.

과거엔 몰라도 앞으로는 다를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분위기다.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밑으로부터의 개편' 이다.

설사 의원을 빼가더라도 민심을 잡은 뒤 해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한 듯하다.

무리한 의원 영입이 여야 대립을 심화시키고 국민화합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 기인한다.

대상은 PK (부산.경남) 지역이 우선 목표다.

그동안 TK (대구.경북)에 심혈을 기울여온 데서 다시 방향을 선회했다.

박지원 (朴智元) 청와대 대변인이 7일 그같은 구상의 일단을 내비쳤다.

朴대변인은 "金대통령이 PK 민심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다" 고 전했다.

그러면서 "金대통령이 PK지역에 연고가 있는 국민회의 의원들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할 것" 이라고 朴대변인은 예고했다.

서석재 (徐錫宰).노무현 (盧武鉉).김운환 (金운桓) 의원과 심완구 (沈完求) 울산광역시장의 이름도 적시했다.

金대통령은 이들을 통해 지역민심을 수렴할 예정이다.

국민회의 당직자들을 수시로 현지에 내려보낼 계획도 갖고 있다.

특히 金대통령은 김기재 (金杞載) 행정자치부장관.김정길 (金正吉) 정무수석 임명에 대한 부산의 반응이 '좋다' 는 보고에 상당히 고무돼 있다는 후문이다.

이에 힘을 얻어 더욱 적극적으로 'PK 파고들기' 에 나설 계획이다.

서울 종로가 지역구인 노무현 의원을 경남도지부장에 임명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신 金대통령은 한나라당 부산.경남 의원들에 대한 개별 영입은 지양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중권 (金重權) 비서실장도 6일 "야당 의원들에 대한 영입작업을 전혀 하고 있지 않다" 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