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하위직 공무원 구조조정 집단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공직사회에 구조조정 바람이 불고 있는 가운데 일부 하위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이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들은 인력감축을 뼈대로 한 구조조정 논의에 자신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유인물 살포나 조직결성을 통한 집단행동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특히 은밀하게 후원금을 모금하는가 하면, PC통신을 통해 '사이버 회합' 과 정보교류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행정자치부와 서울시 등은 "공무원들의 집단행동은 명백한 불법행위" 라며 강경대응 방침을 밝혀 마찰이 예상된다.

◇유인물 살포와 조직결성 = 지난 24일부터 서울시청과 구청엔 수천장의 유인물이 살포됐다.

공무원직장협의회건설준비모임 (약칭 公職協) 명의로 된 유인물은 "인원감축 회오리 속에서 공무원들에게 희망조차 보이지 않는다" 며 "공무원의 기본권 쟁취를 위해 조직화만이 살 길" 이라고 주장했다.

준비모임을 주도하다 이달 초 해임된 공직협 대표 이승찬 (李承贊.48.전 서울용산구청 6급) 씨는 "하위직 공무원들 사이에 구조조정에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심리가 팽배해 있다" 며 내년 1월 '각급 기관별 공무원직장협의회' 가 합법화되면 본격적인 행동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에 따르면 협의회 가입 대상인 전국 6급 이하 공무원 45만여명 중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에서 4천여명이 현재 연락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후원금도 내고 있다는 것이다.

◇사이버 회합 = 공직협은 PC통신 천리안에 비밀대화방을 개설, 각 행정기관의 구조조정 진행사항과 행정자치부 등의 움직임에 대해 정보교환을 위한 '모임' 을 수시로 갖고 있다.

특히 최근 서울시 하위직 공무원 9백여명이 퇴출 예비단계인 인력풀 (pool) 로 발령나면서 인사에 불만을 토로하는 공무원들의 제보전화도 쇄도하고 있다.

◇집단행동 = 지난 26일엔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 산하 11개 수도사업소 소속 검침원 3백여명이 검침업무의 민간이양 방침에 반발, 이의 철회를 요구하는 집단행동을 했다.

전문가들은 "IMF이후 대량실업으로 사회 각 분야에 불안요인이 가중되고 있는 판에 공무원들 마저 집단행동에 나선다면 심각한 사태가 빚어질 것" 이라며 공직사회 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장세정. 배익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