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도~강화 조력발전소, 3.9조 투자 1320㎿급으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정부가 민관 합동으로 4년째 연구해 온 세계 최대 규모의 인천만 조력발전소에 대한 친환경 개발안이 나왔다. 2017년까지 3조9214억원을 들여 강화·장봉·영종도 일대 157.45㎢에 설비용량 1320㎿급으로 짓는 안이 유력하다. 현재 세계 최대인 프랑스 랑스 조력(240㎿)과 내년 완공 예정인 국내 시화호 조력(254㎿)의 5배가 넘는 규모다. 원전 1기(약 1000㎿)보다도 용량이 크다.


13일 본지가 단독 입수한 국토해양부의 ‘인천만 조력발전 추진현황 보고자료’에 따르면 인천만 조력은 전국 가정용 전력의 4.5%, 인천시 가정용의 60%에 해당하는 연 2414GWh의 전기를 생산한다. 이 방안은 한국해양연구원이 최근 실시한 타당성 조사에서 비용 대비 편익이 2.13배로 경제성이 충분한 것으로 조사됐다. 방조제 위를 도로로 쓰면 민자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종도~강화도 교량(사업비 약 9000억원) 건설도 대체할 수 있다.

바다의 밀물·썰물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조력 발전은 대표적인 신재생 에너지다. 국토부는 인천만 조력이 완공되면 연간 354만 배럴의 원유 수입이 줄고, 이산화탄소가 101만t 덜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8조4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6만4000개의 일자리도 생긴다.

문제는 갯벌 면적 감소와 조류 서식지 훼손 등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다. 방조제를 쌓으면 썰물 때 바닷물의 수위가 올라가 기존 갯벌의 일부가 물에 잠긴다. 보고서는 당초 검토안보다 발전량을 소폭 줄이는 대신 갯벌 면적의 감소 비율을 51.3%에서 17.1%로 확 낮췄다. 또 발전소 건설 때 나오는 흙을 이용해 인공 습지와 갈대숲을 만들기로 했다. 주요 조류 서식지는 절대보호지역으로 보존하고, 대체 서식지·먹이터도 조성한다.

보고서는 인천시·강화군이 인근 강화·석모도 일대에서 추진 중인 강화 조력과의 관계에 대해선 “우리나라의 조력발전 가능 지역은 서해안 일부에 한정돼 있어 개발지가 인접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내년까지 인천만 조력의 환경영향평가를 마치고 실시계획을 확정해 2011년 착공할 계획이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