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람]단편영화 잇단 해외수상·판매 김진한 감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단편영화는 아마추어 영화다? 그러나 유수의 국제영화제는 단편부문을 당당한 경쟁부문의 하나로 대접한다.

하지만 국내엔 상영극장이 없어 유통이 안되고 유통이 안되니 재생산이 어렵다. 한국 단편영화의 현주소다.

'단편영화' 를 사랑하는 김진한 감독 (30) 은 그래서 국내에서 눈길을 끌기 어려웠다. 지난 2월 클레르몽 페랑 국제단편영화제에서 최우수 창작상을 받고서야 겨우 주목받기 시작했다.

뒤이어 들려온 샌프란시스코 국제영화제 단편부문 은상수상 소식, 그리고 독일 아르떼방송과 호주 등 해외 5개국에 판권을 팔았다는 소식. 또 국내 제1회 이스트만 단편영화 제작지원 대상자로 선정됐다는 소식…. 영국 배급사 제인 발포아에 의해 세계에 배급되고 있는 그의 영화 '햇빛 자르는 아이' 는 "17분 분량의 단편영화론 완벽한 작품" (프랑스 '포지티브' 지) 이라는 격찬을 받았다.

또 독일 아르떼 방송으로부터는 제작지원 제안을 받았다.

1천만을 들여 '몸으로 때워' 찍은 한 편의 단편영화가 받은 '박수' 치곤 대단한 반응인 셈이다.

"단편영화는 시 (詩) 라고 생각합니다. 단편이 이야기를 보다 함축적으로 전하기 때문에 훨씬 강한 느낌을 전할 수 있지요. " 이때문일까. 그의 작품은 무엇보다도 표현양식과 영상미가 독창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색깔' 에 대한 그의 관심은 좀 남다르다.

"내가 선택한 것은 이야기보다 주인공의 심성을 '보여주는' 것" 이라는 그는 "빛과 색깔로 이야기하는, 좋은 '스타일리스트' 가 되고 싶다" 고 했다.

이력을 들춰보니 홍대 미대를 '가난' 때문에 중도하차했다.

대신 '현장' 에서 일했다.

'그대안의 블루' 조감독, '런어웨이' 미술감독, '8월의 크리스마스' 프로덕션 디자이너로 일한 것. 94년, 콤플렉스와 성의식의 고민을 담아 만든 그의 첫 단편 '경멸' 은 이탈리아 몬테카티니 국제단편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받았다.

새로 찍을 단편은 한 가족의 이사와 할머니의 죽음을 소재로 한 10분짜리 단편 '장농' .세작품 모두 가족과 소외의 문제를 함께 다룬 것이 특징이다.

"클레르몽 페랑 영화제 수상으로 배급망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수확" 이라는 그는 "물론 장편 제작도 꿈꾸고 있다" 고 했다.

그가 만들고 싶은 영화는 에밀레종 전설에서 영감을 얻은 SF영화. 뜻을 함께 한 친구들과 꾸린 영화제작방 '천지인' 을 통해 이 꿈을 펼칠 생각이라고 했다.

이은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