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수출구조 문제점…10대 주력수출품목 저부가상품 집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우리나라의 10대 주력수출품목은 일본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낮은 상품에 집중돼 있어 기술개발투자와 신상품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9일 한국무역협회가 발표한 '한.일 10대 수출상품을 통해 본 우리 수출구조의 문제점'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10대 수출상품은 승용차.반도체.컴퓨터.산업용로봇.전자복사기등 고도 기술집약상품에 집중돼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10대 수출상품은 반도체.선박.직물.유류.철강및 비합금강등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 및 부가가치가 낮은 상품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우리나라는 메모리제품이 90% 이상을 차지하는데 반해 일본은 부가가치가 높은 비 (非) 메모리제품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컴퓨터의 경우 우리는 마우스.모니터.프린터 등 주변기기가 80%이상을 차지한 반면 일본은 주변기기 비중이 42%에 불과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인 기억장치 (33%) , 휴대용컴퓨터 (12%) 등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10대 수출상품의 점유율면에서도 일본은 35%선에서 안정된 상태에서 최근 5년사이는 계속 하락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지난 89년 24.5%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상승해 지난해는 39.1%까지 올라갔다.

우리 주력 수출상품의 이같은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해 우리 기업들은 재무구조가 취약하고 경영성과도 매우 낮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95년기준 매출액 대비 경상이익률은 한국자동차 업체가 0.4%, 일본은 2.6%였고 한국조선업체는 2.3%, 일본은 4.8%로 나타났다.

무협은 "주력 수출상품 구조를 개선하려면 양적 성장을 위한 설비투자를 지양하고 기술개발투자를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상품 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화를 추구해야 할 것" 이라고 지적했다.

신성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