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자민련,연합공천 발상…후보 1명에 국고보조는 두몫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후보 단일화 협상이 막바지 피치를 올리고 있다.

양당 협상소위는 'DJP담판' 까지의 구체적 협상일정을 6일 발표했다.

당장 7일부터 양측은 거의 매일 만나 각각 마련안 초안을 협상테이블에 올려놓고 정리작업을 벌일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이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양당의 그간 감춰온 속셈도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우선 돈 문제다.

국민회의는 6일 대통령후보의 연합공천제라는 '변칙 (變則)' 을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단일후보를 나란히 두당의 후보로 중앙선관위에 등록해 양당이 모두 대선 국고보조금을 받도록 하자는 것이다.

자민련이 요구하는 '선대위 공동구성안' 도 사실 이 얘기다.

자민련은 후보를 양보할 경우 돈도 사람도 국민회의로 쏠릴 것을 우려하고 있고, 국민회의도 단일화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자민련의 조직과 인력을 최대한 활용하려 한다.

이런 필요가 '후보는 1인, 국고보조금은 두 몫' 이라는 제안으로 이어진 셈이다.

그러나 이 방안은 신한국당의 반대는 물론 여론으로 부터 지나치게 정략적 편법이란 비판을 받을 것이 뻔해 실현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신한국당도 "매우 위험하고 얄팍한 발상" 이라며 경계의 빛을 감추지 않았다.

국민회의는 최악의 경우 후보를 낸 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당에 자기 몫의 대선 국고보조금을 지원키로 이미 자민련과 내막적으로 합의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이 역시 국고보조금 사용의 취지와 어긋나기는 마찬가지라는 지적이다.

물론 이같은 합의는 '이면계약' 일뿐 공개될 성질은 아니다.

이밖에 협상의 고삐를 쥐고 있는 자민련측은 순수내각제 관철등 세가지 사항을 마지노선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중 15대 국회 임기중 개헌, '집권후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 개헌을 적극 주도한다' 는 방침의 발표등은 국민회의도 긍정적이다.

〈본지 10월6일자 4면 참조〉 협상일정을 합의발표한 양당 소위관계자들의 표정은 어느때보다 밝았다.

발표문에는 15일까지 합의안 작성→두 후보간의 최종결단 정도만 언급했지만 그동안 예상을 뛰어넘는 많은 부분에서 합의가 있었으며 핵심쟁점의 타결도 순조로울 것이라는 얘기를 자연스럽게 했다.

이전 회의에선 찾아볼 수 없던 '공개적인 태도' 다.

"김대중.김종필 후보간 담판이 20일께 이뤄질 것이냐" 는 질문엔 "시한을 적시할 수 없지만 적절하다고 본다 (한광옥위원장)" "두 분의 판단에 맡기는게 예의다 (김용환위원장)" 며 여유를 보였다.

자민련의 金위원장은 "내각제형태에 대해 첨예한 의견대립이 있는 것처럼 보지 말아달라" 고 주문해 '순수내각제' 쪽으로의 자신감을 표출했고, 국민회의 韓위원장은 "오랜 공조로 다져진 양측의 신뢰가 있다.

신뢰문제는 걸림돌이 아니다" 고 강조했다.

김현종.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