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어선나포 정부 미온대응 추궁…14개常委 39개기관 국정감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는 국정감사 이틀째인 2일 법사.재경.통일외무위등 14개 상임위를 열어 소관부처와 산하단체등 39개 기관에 대한 감사활동을 벌였다.

여야의원들은 미국의 한국자동차시장에 대한 슈퍼301조 발동, KF - 16전투기 추락사고및 차세대전투기 (KFP) 사업, 한.일어업협정문제, 퇴직금 최우선 변제조항의 헌법불합치 판정등을 집중 거론하고 정부측 대책을 추궁했다.

◇ 법사위 = 김포출입국관리사무소에 대한 감사에서 오익제 (吳益濟) 전천도교 교령의 월북과 관련, 김수영 (金秀永) 소장이 "출국전인 지난 8월3일 안기부에 출국예정사실을 통보했으나 '별 이상이 없다' 는 통보를 받았다" 고 말했다가 "착각" 이라며 번복하는 소동을 빚기도 했다.

◇ 국방위 = 국방부에 대한 감사에서 천용택 (千容宅.국민회의) 의원은 "기아사태로 인해 군은 4분의1t 신형지프 3백대등 군에서 시급히 필요로 하는 전투차량과 민수차량도입 계약분중 일부만 인도받은 상태" 라며 대책을 물었다.

◇ 통일외무위 = 외무부 감사에서 권익현 (權翊鉉.신한국) 의원등은 일본의 한국어선 나포문제와 관련, "7월28일 한.일 외무장관회담의 합의문을 보면 해결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며 정부의 미온적 대처를 지적하고 동중국해에서의 일.중간 공동관리수역 설정에 따른 정부 대책을 따졌다.

◇ 환경노동위 = 이신행 (李信行).권철현 (權哲賢.이상 신한국).한영애 (韓英愛.국민회의) 의원등은 퇴직금 최우선 변제의 헌법불일치 판정에 따른 근로자들의 불안감을 덜어줄 수 있는 대책을 추궁하고 임금보장 기금제 도입, 최우선 변제기간 10년설정및 퇴직금 중간정산제 의무화, 퇴직금 정산기금 신설등을 제안했다.

이밖에 신낙균 (申樂均.국민회의) 의원은 보건복지위의 국립보건원 감사에서 "지난해 쇠간에서 O - 157 대장균이 발견된뒤 96년 8월 보건원내에 '특별대책반' 을 설치해 놓고도 그동안 단 두차례밖에 회의를 하지 않았다" 며 안이한 대처를 비판했다.

김인곤 (金仁坤.국민회의) 의원은 "8월말 현재 무보직 별도정원인 이른바 '위성공무원' 이 93년 문민정부 출범때보다 5백22명 늘어난 1천5백31명에 이른다" 면서 "특히 재정경제원.총무처등 소위 힘있는 부처가 전체 별도정원의 34%인 5백50명을 점하는등 작은 정부 구현에 역행, 정부 기능의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 고 지적했다.

정치부.사회부.전국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