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남측 인력 포함 621명 북한 군 통신 차단으로 발 묶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이 9일 시작된 ‘키 리졸브’ 한·미 연합 군사 연습을 문제 삼아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지구를 출경하거나 입경할 때 이용하는 군 통신선을 차단했다. <관계기사 5면>
이 바람에 이날 오후 경의선 육로를 통해 남쪽으로 돌아올 예정이었던 개성공단 내 남측 인원 80명이 귀환하지 못했다. 또 개성공단으로 들어가려던 남측 인원 726명의 방북도 이뤄지지 못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개성공단 관리위원회에서 북측에 우리 측 인원의 귀환을 요구했지만 북측은 ‘상부 지시가 없어 입장을 밝힐 수 없다’고 전해 왔다”며 “정부는 관리위원회를 통해 북측에 조속한 통행 정상화를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북한에는 개성공단 573명, 금강산 관광지구 43명, 평양·해주 등 기타 지역 5명을 합쳐 621명의 우리 국민이 체류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오전부터 군 통신선을 통해 북한 측과 접촉을 시도했으나 북한은 응하지 않았다.

김 대변인은 “정부는 북한 상황을 예의 관찰하며 현지 우리 국민들의 신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통일부는 제3국을 통해 방북하려던 대북 단체들에 대해서도 방북 자제를 권고했다.

북한이 ‘키 리졸브’ 훈련 기간(9∼20일) 동안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지구 등의 남측 인원 귀환을 계속 막을 경우 이들이 사실상 북한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억류되는 상황이 되는 등 신변 안전 문제가 불거져 남북 관계에 악영향이 예상된다.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는 이날 오전 발표한 성명에서 “키 리졸브 훈련 기간 군 통신을 차단한다”며 “개방돼 있던 동·서해지구 북남관리구역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보다 엄격한 군사적 통제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명은 또 “우리의 평화적 (인공)위성에 대한 요격은 전쟁을 의미한다”며 “(위성을 요격할 경우 미·일과 남한의) 본거지에 정의의 보복 타격전을 개시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북한은 이날 이례적으로 북한군 최고사령부 명의의 발표문도 내 “전체 인민군 장병들이 전투 준비를 갖췄다”고 주장했다.

채병건·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