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운노조, 사상 첫 임금동결 선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전국항운노동조합연맹이 60년 만에 임금 동결을 선언했다. 하역업체들도 하역료를 동결하기로 했다.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최봉홍 전국항운노조연맹 위원장, 이국동 한국항만물류협회 회장은 5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항만 노사정 공동 선언식’을 했다. 항운노조 임금 동결은 1949년 연맹을 만든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항만 하역료는 98년 외환위기 이후 11년 만에 동결됐다.

최근 무역항을 거치는 수출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일자리가 줄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노조원들에게 확산되면서 이번 선언이 나왔다. 부산·인천·광양항 등 무역항의 물동량은 지난해 11월 9111만t에서 12월 8715만t, 올해 1월에는 8133만t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전국항운노조연맹 주명서 사무처장은 “항만물동량 감소로 하역업체와 항만 노동자가 모두 어려움에 처하게 돼 임금을 동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서명식 직후 “이번 공동선언은 노사민정 대타협 정신이 산업 분야로 확산된 사례며 수출산업을 지원하는 효과를 낼 것”이라며 “정부는 항만물류산업이 위기를 극복하고 제2의 도약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항만하역업 종사자는 1만2000여 명으로 이 중 7000여 명이 전국항운노조에 가입해 있다. 나머지 5000여 명은 개별 하역업체 소속이다. 전국항운노조연맹은 사용자 측 단체인 항만물류협회와 단체협약을 통해 도급 방식으로 노동력을 공급하고 있다.

하역료는 항만에서 컨테이너를 싣거나 내릴 때 받는 요금이다. 이 돈의 60~70%는 조합원 임금으로 나가고 나머지는 부두(선석)나 크레인 등을 보유한 하역업체에 돌아간다. 매년 1.6~5.8% 정도 인상돼 왔다. 국토해양부는 “이번 합의로 수출입 기업은 연간 1000억원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2005년 현재 항만 하역료는 1조3333억원이다.

장정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