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관람료 인상분쟁 격화 공원입장료 분리여부 주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공원입장료와 문화재관람료의 징수방식을 놓고 불교 최대 종단인 조계종과 국립공원관리공단간에 벌어지고 있는 갈등은 '세속' 조직간의 마찰 못지않게 첨예하게 전개되고 있다.

지난 3일 조계종이 다음달 15일까지 정부가 공원입장료를 폐지하고 사찰소유지를 공원구역에서 제외시킬 것을 요구한 것은 정부의 적극 개입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어서 내무부.문화체육부등 관계부처에서 어떻게 나올지 주목된다.

조계종이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분리징수에 이처럼 강경하게 나서는 데는 징수방법에 따라 문화재관람료 수입이 크게 다를 수도 있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다.

물론 속리산 법주사나 가야산 해인사처럼 국립공원을 찾는 관광객의 주요 목적이 사찰인 경우도 있다.

그러나 계룡산 동학사.지리산 천은사.설악산 신흥사 등의 경우처럼 사찰관람은 부수적이고 등반등 산을 찾는 경우도 많다.

조계종총무원 관계자의 추산에 따르면 국립공원을 찾는 관광객중에서 사찰을 들르지 않는 비율이 20%정도이지만 비율이 그보다 더 높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따라서 국립공원 입장료와 사찰문화재 관람료를 분리 징수할 경우 조계종측의 문화재관람료 수입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국립공원내에 위치한 사찰 18개의 문화재관람료 수입만 총 82억원에 달했다.

현재 조계종 사찰중 문화재관람료를 징수하는 곳은 61개소. 국립공원관리공단과 조계종의 갈등은 지난 95년말 문화재보호법의 개정으로 지난해 7월부터 사찰문화재관람료가 자율화되면서 시작됐다.

국립공원내 사찰들이 문화재관람료를 지난해 평균 44%인상한데 이어 올 7월에 또다시 평균 40.4%를 인상하자 그에 대한 관광객의 불만이 공단측에 쏟아졌던 것이다.

이번 사태를 통해 국립공원 입장료의 실상을 알게 된 많은 시민들의 반응은 분리징수쪽으로 기우는 것같다.

이미 계룡산에서는 지난 2일 등산객들이 갑사와 신원사의 문화재관람료 인상에 항의하는 소동을 벌이기도 했다.

정명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