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kholic] 자전거로 백화점 가면 교통비 돌려준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올 하반기 자전거를 타고 백화점을 가면 구입한 물건 값에 따라 일정 금액을 교통카드에 충전받게 된다. 서울시가 백화점 등 대형 건물에 징수하는 교통유발부담금을 깎아 주고, 백화점은 친환경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또 건물에 자전거보관소를 만들거나 직원들이 자전거를 많이 타는 건물에 대해서도 부담금을 깎아 준다. 자전거 보관장소나 교통카드 충전기 등을 설치하는 데 드는 비용은 서울시가 지원한다.

서울시는 1일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해 자발적으로 승용차 사용 억제에 나서는 건물주에게 부담금을 깎아 주기로 방침을 정했다. ▶자전거나 대중교통·도보로 이용하는 고객에게 교통카드를 충전해 주고 ▶자전거보관소를 설치해 자전거 이용자 수를 늘리고 ▶무료로 상품을 배송하는 등의 방법으로 승용차 이용자를 줄이는 경우 등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대형 건물의 소유주에게 교통량을 감축할 수 있는 세부 이행계획서를 제출토록 했다. 코엑스와 여의도 LG트윈타워 등은 이미 계획서를 냈다. 이들 건물은 자전거 주차시설을 제공하고 승용차의 주차요금을 인상하는 등의 방안을 제출했다.

서울시는 시민들의 이용이 많은 대형 건물을 내년 3월 교통혼잡특별관리시설물로 지정할 계획이다. 지난달 25일 서울시 조례 개정에 따른 것이다. 특별관리시설물로 지정되면 그 소유주는 추가로 교통유발부담금을 내야 하고 의무적으로 승용차 요일제를 시행해야 한다. 소공동 롯데백화점·센트럴시티·코엑스·잠실롯데백화점이 위치한 4개 블록 안의 12개 건물과 신세계백화점 본점 등 개별 건물 57개가 특별관리시설물로 지정될 가능성이 크다. 2005년부터 롯데백화점이 49억원, 현대백화점 36억원, 신세계백화점이 22억원의 교통유발부담금을 냈다.

서울시 김경호 교통기획관은 “승용차 억제에 동참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커지기 때문에 큰 건물을 소유한 대기업들이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앞장서고 인센티브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경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