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인도·네팔, 아세안까지 中 국경무역 활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중국이 국경을 맞대고 있는 국가와의 교역을 크게 늘려가고 있다.

우선 1990년대 초 소련이 무너지면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대외무역이 활발해졌다. 또 신 유라시아 대륙철도 개통과 도로건설 등 국경지역 물류망이 대폭 정비됐기 때문이다. 아시아 국가들 간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경제 교류를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도 활발하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중국과 인도. 지난해 11월 두 나라는 국경분쟁이 마무리된 티베트와 시킴 두 지역에서의 국경무역을 허용했다. 1962년 전쟁 이후 40여년간 중국은 시킴을, 인도는 티베트의 일부를 각각 상대국의 영토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탈 비하리 바지파이 인도 총리가 지난해 6월 중국을 방문하면서 티베트를 중국 영토로 받아들였고, 중국은 그 답례로 시킴이 인도의 한 주임을 승인했다.

인도와의 국경무역 창구로 일찌감치 각광을 받고 있는 지역은 티베트의 야둥(亞東)이다. 62년 국경분쟁 이후 폐쇄된 야둥은 50년대까지 연간 약 1억달러 규모의 국경무역을 해왔다. 이곳에 소상인들의 발길이 늘어나면서 그간 네팔을 경유해 인도와의 국경무역을 해왔던 장무(樟木)의 상권은 벌써 축소되기 시작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교류도 매년 늘고 있다. 중국 신장(新疆)위구르 자치구는 러시아를 비롯, 카자흐스탄 등 8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아라산커우(阿拉山口)가 국경무역기지다. 92년 말에는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과 네덜란드를 잇는 신 유라시아 대륙철도가 개통됐다.

소상인들이 국경 너머로 운반한 화물량은 지난 10년간 10배 가까이 늘어났다. 중국 정부도 2001년 러시아.카자흐스탄 등과의 국경무역 확대와 에너지개발, 교통망 정비를 위한 상하이협력기구를 창설한 데 이어 지난해엔 중앙아시아 6개국과 자유무역지대 설치에 합의했다.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FTA 협상의 가장 큰 특징은 협상 대상국이 대부분 아시아.태평양 경제권의 신흥시장이라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동남아와 동북아는 물론 중앙아시아.남아시아와 자유무역지대를 구성, 사실상의 아시아 경제공동체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중국은 2002년 11월 프놈펜에서 열린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정상회담에서 FTA 추진에 합의했으며, 지난해부터는 남부 윈난(雲南)성과 광시(廣西)자치구의 베트남.미얀마.태국 등 아세안 국가와의 국경무역을 가속화하고 있다. 메콩강 유역에서의 다자간 협력에도 적극적이다. 인도차이나 반도를 종단하는 메콩강의 상류에 있는 중국 윈난성 징훙(景洪)의 국경무역액은 96년 7억위안에서 2001년에는 두배로 증가했다.

79년 중국-베트남 간 전쟁으로 국경무역이 중단됐던 중국 남부 광시(廣西)치완족 자치구인 둥싱(東興)시 역시 89년 교역 재개 후 중국-베트남 간 국경무역이 가장 활발한 지역 가운데 하나다. 96년엔 세관 등을 갖춘 다리가 재건되면서 매년 300만명 이상이 왕래하고 있다. 이곳의 2001년도 국경무역 총액은 17억위안(약 2600억원)규모다. 이 밖에 태국과 미얀마가 2002년 2월 국경무역 활성화를 위한 이중과세방지협정을 체결했으며, 2003년 11월엔 태국과 미얀마.캄보디아.라오스 4개국이 경제협력전략회의(ECS) 정상회담을 열어 미얀마 남부 타와이항 확충공사에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박소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