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자동차업체 대형화 박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중국 정부가 신규 진입 요건을 강화하는 동시에 업체의 대형화를 유도하는 것을 골자로 한 '자동차산업 발전정책' 최종안을 지난 1일 발표했다고 주요 외신들이 보도했다.

중국의 자동차시장은 지난해에만 70% 성장하는 등 규모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가전회사들이 파산한 회사의 허가권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시장에 뛰어들면서 현재 100여개의 자동차 제조회사들이 난립하는 바람에 중국 정부의 개혁 대상에 포함돼 왔다. 이번에 발표된 최종안은 이런 상황을 개선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먼저 파산한 자동차회사의 제조 허가권 양도를 금지했다. 또 신규 허가를 받기 위해선 5억위안의 연구개발(R&D) 비용을 포함, 최소 투자 규모가 20억위안(약 2억4000만달러)은 돼야 한다. 이와 함께 트럭은 연 1만대, 4기통 자동차는 연 5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춰야 허가를 받을 수 있고 3년간 수익이 10억위안 이상을 유지해야 하는 조건도 덧붙여졌다.

업체의 대형화도 추진된다. 중국 정부는 하나의 자동차 회사가 최소 10%의 점유율을 유지하도록 합병과 제휴를 독려키로 했으며, 점유율이 15%를 넘어서는 업체에 대해서는 추가 투자가 쉽도록 했다. 중국은 2002년에 수십개의 자동차 업체를 3개 그룹으로 통합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해 4월 초안에 포함됐으나 해외 업체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던 중국 기업으로의 기술이전 조항은 최종안에서 빠졌다.

한편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이번 발표에 자동차의 연비 기준 강화가 포함돼 있는 점을 주목하며, 연비가 높고 배출가스가 적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부문에서 경쟁력이 있는 도요타.혼다가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또 신규 진입이 어려워진 반면 기존 업체의 생산능력 확장은 수월해졌기 때문에 중국 최대의 자동차 업체인 독일 폴크스바겐도 유리한 입장에 서게 됐다고 밝혔다.

폴크스바겐은 지난해 중국에서 70만대를 팔아 시장점유율 30%를 기록했지만 최근 미국 제너럴 모터스(GM)와 도요타.혼다.닛산 등 일본 업체의 추격을 받고 있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