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애플, 음원 제공자와 이익 나누며 'MP3 시너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 상생경영이 재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 모두 경쟁력을 갖춰야 공존할 수 있는 시대다. 후발주자였던 애플의 아이팟이 선두로 나선 배경에도 상생경영이 버티고 있다.

 “기업 간 개별 경쟁시대는 끝났다. 앞으로는 협력사 등과 함께 뭉쳐서 싸우는 ‘네트워크 경쟁시대’다.”

이구택 포스코 회장의 말이다. 기업들이 협력사와 상생경영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아야 할 때라는 얘기다. 이 때문에 포스코는 내년 투자계획을 발표하면서 ‘상생협력 마스터 플랜’도 함께 마련했다. 내년에 사상 최대 규모인 6조원의 설비증설 투자를 발표하면서 동시에 중소기업과 상생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포스코는 외주 협력사의 노후설비 교체용으로 400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지원펀드를 운용 중이다. 여기에 600억원의 자금을 추가로 마련키로 했다. 또 중소기업 납품대금 전액을 현금으로 주는 제도를 전 계열사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1000억원을 따로 마련했다. 상생협력 마스터 플랜에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지원책도 빼놓지 않았다.

LG도 지난달 24일 ‘하도급 공정거래 협약 선포식’을 했다. 이 자리에서 LG 계열사 최고경영진과 협력업체 대표들이 손을 맞잡고 상생협력을 다짐했다. LG는 내년부터 1700여 개 하도급 협력사에 전액을 현금으로 결제하기로 했다. 또 협력사에 대한 각종 금융지원 규모를 올해 1750억원에서 3430억원으로 두 배 정도 늘리기로 했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와 SK 등도 상생경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중소기업들이 힘들어지자 대기업들은 ‘상생 경영’이 화두다. 나 혼자만 잘하면 살아남는 시대에서 내 주변의 모두가 잘돼야 나도 생존할 수 있는 시대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 내 네트워크에 속한 구성원이 상생하지 않으면 경쟁력을 가질 수 없는 시대로 변한 것이다. 가톨릭대 김기찬 경영대학원장은 “기업을 ‘닫힌 시스템’으로 보고 ‘아이(I·나)’가 중심이 되는 ‘내부성의 신화’가 있었다”며 “그러나 앞으로는 기업을 ‘열린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위(We·우리)’의 관점에서 상생 네트워크를 만드는 게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이 통섭·융합·협력·네트워크·상생 없이는 성공 신화를 쓸 수 없게 됐다”고 강조했다.


상생경영 차원에서 기업이 네트워크 경쟁력을 키워 성공한 사례는 많다.

대표적인 사례가 애플의 아이팟이다. 아이리버(레인콤)와 옙(삼성전자) 등 한국의 MP3 플레이어 제품이 혁신적인 성능과 디자인으로 초기 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현재 승리자는 후발 주자였던 애플이다. 애플은 소비자가 한 곡에 99센트(약 1300원)라는 싼 가격으로 합법적인 저작권을 보유한 ‘아이튠스(iTunes)’ 서비스를 개발했다. 이를 아이팟과 결합해 차별화를 했다. 아이튠스를 통해 협력자인 음원 제공자들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해줬다. 기업이 자기 몫을 지나치게 챙기기보다는 협력자에게 수익의 일부를 배분하는 양보와 협력의 상생 모델이다.

서울대 송재용(경영대) 교수는 “아이리버나 옙이 MP3라는 하드웨어 판매에만 열을 올릴 때, 애플은 MP3를 채우는 콘텐트 프로바이더(음반업체·가수)와 함께 시너지를 창출했다”며 “수익을 나눌 수 있는 협력의 네트워크를 만들었기 때문에 더 다양한 음원을 확보하며 한국의 선발업체들을 누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세계 자동차업계가 극심한 침체기를 겪고 있는 이때 일본 도요타의 경쟁력은 더욱 빛난다. 이 회사는 수십년간 부품 생산 중소기업과 긴밀한 상생을 기업경영의 핵심 전략으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중소 협력업체가 덴소라는 부품사다. 1949년 부품사업부에서 독립한 뒤 연매출 49조원의 세계 최대 자동차 부품회사로 성장하기까지 도요타의 상생 의지가 컸다. ‘갑(甲)’의 입장에서 강압적으로 납품단가 인하를 요구하기보다는 함께 연구개발을 통해 원가절감을 추진하며 신뢰를 쌓았다.

서울대 박남규(경영대) 교수는 “선진국 경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개별 기업의 성과보다는 네트워크의 효과에 관심을 뒀다”며 “관련 기업 간 상생협력, 공급자와 수요자 간 상생협력,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등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심재우 기자

[J-HOT]

▶ "100년 소나무와 기싸움…이겨야 베지"

▶ 이소연 "우주갔을 때 사기당한 느낌"

▶ 가수 이지연 "1년 6개월 전부터 별거…5년 전 수술도"

▶"대운하 때문에 남편 잘 때마다 헛소리" 울분

▶ 러닝 머신보다 등산이 건강에 더 좋은 이유

▶"이혼 했나?" 신성일·엄앵란, 대구-서울 따로 사는 이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