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 신도심에 학교 신설 대책마련 못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2000년대 광주의 도심기능을 떠맡을 상무신도심에 5월부터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지만 광주시와 시교육청이 최대 현안인 학교 신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채 공방만 되풀이하고 있다.

오는 5~6월 상무신도심 1지구에는 4천7백64가구가 입주하게 된다.그러나 첫 입주를 불과 3개월 앞두고 시와 교육청이 5년째 '항공기 소음과 관련된 학교용지 이전 공방'을 벌이는 바람에 당초 신설 예정이던 초.중등 6개교 가운데

1개교도 현재 설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당장 5월부터 3천여명으로 추산되는 입주민 자녀들이 통학문제로 큰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입주예정자 대표 50명이 지난 18일 시교육청과 시청.시의회를 방문,조속한 학교설립을 요구하는등 집단행동에 나섰다.

특히 입주예정자들은“입주시기에 맞춰 학교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학교 건립을 분양조건'으로 내세운 아파트 시공회사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아파트 입주 포기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지난해 1월 소음문제 당사자인 공군부대측이'광주비행장 이전및 항로변경 불가'를 통보했었다.

그러나 아직도 시청과 교육청의 엇갈린 방침은 확고부동이다.

시교육청은“학교예정지 상공을 통과하는 전투기 소음 때문에 도저히 수업을 진행할 수 없으며 따라서 어떤 학교도 지을 수 없는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단지 현재 상무2지구에 신축중인 상무고교(36학급)를 초등학교 시설로 전환,5월부터 입주할 초등학생을 수용키로 했다.

또 중학생은 이 일대 제3학교군내 10개 중학교로 배정하고 고교생은 단일 학군이기 때문에 시내 41개 고교에 분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이에 맞선 광주시의 주장도 팽팽하다.시는“시교육청이 요구하는 5.18기념공원내 학교 이전부지는 국유재산으로 목적외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또 상무2지구에 학교를 설립할 경우 통학거리(약 2㎞)가 멀어 학생 통학불편및 교통사고 위험,학교용지 이전에 따른 아파트 건설회사측의 반발등을 내세워 학교용지 위치변경은 절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대신 시는 상무1지구에 시범학교 1개교를 신축한뒤 3중창문등 방음시설과 냉방시설을 갖춰 교육환경을 검토해보자는 제안을 내놓고 있다.

결국 힘겨루기로 5년을 낭비한 시와 교육청은 빠른 시일내 학교 신설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예상되는 집단민원등의 책임과 비난을 면치 못하게 됐다. 〈광주=구두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