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설>빗나간 進學지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대학선택은 학생의 적성과 취향에 맞는 지혜로운 학과선택에 있다고 불과 사흘전 본란에서 강조했다.그런데 이 선택을 교사와 학교가 앞장서 막고 있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더구나 몇몇 교육청은 명문대 진출도에 따라 학교를 평가하고,학력 지원비를 차등지원해 이런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간판위주 대학진학을 학교가 앞장서 고치도록 유도해도 교육개혁이 될까말까한데 오히려 이를 역행(逆行)하니 언제 우리교육이 제자리를 잡을 수 있겠는가. 학력(學歷)아닌 능력,어느 대학이 중요한게 아니라 어떤 전문성을 확보하느냐가 세계화.정보화시대의 교육추세다.그러나 우리교육현실은 어떤가.3백점이상 고득점자가 서울대 아닌 지방공과대특차를 지원했다.그러나 교사는 너는 서울대를 가 야 한다고 원서를 써주지 않고 내신성적표까지 주지 않는다.이런 현상이 일부고교에 국한되지 않는 전국적 현상이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모두가 말로는 간판위주 교육은 안 된다고 해놓고 교육현장에선이를 무시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명문대위주 진학지도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명문대에 몇명들어갔느냐에 따라 고교서열화가 이뤄지고,담당교사의 능력이 좌우된다.교육청마저 여기에 가세하니 나쁜 관행이 사라지지 않는다.
진학지도교사가 해야 할 일은 학교생활속에서 관찰 된 학생의 적성과 취향에 맞춰 대학선택을 도와주는 일인데 도와주기는 커녕 방해까지 하고 있다.
특차지원과 복수지원의 원래 취지는 학생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자는데 있다.고득점자의 특차지원을 학교가 막는 것은 새 제도에 역행하면서 교육수요자의 선택권을 강제로 차단하는 비교육적 처사다.예능계 최우수득점자가 한 대학 연극영화과를 지망했다는 사실이 누구에게나 신선하게 들릴만큼 대학의 지원추세는 달라졌다. 빗나간 진학지도를 해온 관련학교에 대해선 엄중문책(問責)하고,잘못된 학교평가기준을 실시중인 교육청은 지원방식을 고치도록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