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사회’ 대한민국 <상> 보릿고개 → 연탄가스 → 외환위기 … 위험도 진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문 사장은 이제까지 겪어보지 못한 새롭고 강력한 위험과 맞닥뜨려 있다. 요즘 그는 이제껏 겪어온 위험을 되짚어본다. 유년 시절인 1960년대에는 먹고사는 것이 문제였다. “초등학교 시절 한 반 60명 가운데 서너 명은 도시락을 싸오지 못해 점심 시간이면 수돗가로 달려가 배를 채웠다”고 말했다. 농사를 짓던 부모님은 비가 많이 와도 걱정, 가뭄이 들어도 걱정이었다.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고교 때는 연탄가스 중독을 걱정하면서도 매일 밤 ‘사신(死神)’과 동거해야만 했다. 대형 병원마다 연탄가스 중독 환자를 위한 치료기를 갖춰 놓았다는 간판을 내걸며 광고하는 시절이었다. 76년 한 해 연탄가스로 목숨을 잃은 사람이 1013명이었다.

먹고사는 걱정은 80년대 중반 이후 사라졌다. 하지만 94년에 성수대교가, 95년에 삼풍백화점이 무너져내렸다. 문 사장은 “누구라도 부실공사의 희생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지금도 섬뜩하다”고 말했다. 그 몇 년 뒤 외환위기가 닥쳤다. 문 사장은 “당시 근무하던 LG산전의 사업부 하나가 몽땅 없어져 동료들이 뿔뿔이 흩어졌다”고 그때를 기억했다. 98년 겨울, 그는 10년 넘게 몸담던 직장을 떠나 회사를 차렸다.

사장이 된 뒤에는 작업장 사고가 생기지 않을까 가슴 졸인다. 20대의 절삭 기계에는 ‘안전’을 강조하는 노란색 경고 딱지가 10여 개씩 붙어 있다. 문 사장은 “조금만 방심해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해마다 두 차례씩 안전교육을 실시한다”고 말했다. 정보기술(IT)이 발달하면서 해킹이 늘어나는 것도 문 사장에게는 걱정거리다. 직원들의 개인정보나 생산 기술 노하우가 순식간에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문 사장은 3년 전 겨울 교통사고로 어머니를 잃었다.

문 사장의 貫?굴곡은 우리 사회가 경험한 위험의 축소판이다. 90년대 중반까지 ‘위험’이라고 하면 태풍·홍수 등 자연재해에 교통사고, 대형 건축물 붕괴, 폭발사고 등이 대부분이었다. 구포역 열차 탈선 사건(78명 사망), 아시아나항공 추락사고(66명 사망), 위도 페리 침몰 사건(292명), 성수대교 붕괴(32명), 대구지하철 가스폭발사고(101명), 삼풍백화점 붕괴(502명) 등 대형사고가 쉴 새 없이 이어졌다.

97년의 외환위기는 위험에 대한 인식을 확 바꿔놓았다. 취업난, 실업에 대한 공포, 빈부격차, 노후 걱정 등 ‘경제적 위험’이 자연재해나 사고보다 앞 순위에 놓이게 됐다.

그렇다고 재래식 위험이 눈에 띄게 준 것도 아니다. 지난해 차량 1만 대당 사망자가 3.1명으로 OECD 평균(1.5명)의 두 배를 넘는다. 화재는 3만6400건이 발생해 최근 10년간의 평균치(3만2800명)를 넘는다. 산업재해도 증가해 지난해 9만 명이 피해를 봤으며 그중 2400명이 목숨을 잃었다.

여기에다 정보화가 가져온 역기능이 사회불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사이버범죄 신고 건수는 14만3000건으로 2001년(7만6500건)의 두 배 수준이다. 언제 해킹이나 개인정보 침해, 인터넷 사기 등의 피해자가 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환경안보(Environmental Security)’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전통적 위험이 여전한 가운데 과학기술적 위험, 생태환경과 관련된 위험, 먹거리 위험 등 첨단 위험이 떠오르면서 뒤엉킨 모습이다. 사회가 단순위험 사회에서 ‘복합위험 사회’ ‘이중위험 사회’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전북대 정태석(사회학) 교수는 “ 한국은 경제 발전 과정에서 선 성장, 후 분배 원칙을 내세우면서 제대로 대책이 없었던 것이 그 원인”이라고 말했다.

김상우·이정봉 기자

[J-HOT]
▶월급 120 만원으로 차굴리고 50 넘게 저축까지

▶최진실 母 "진실이가 환희 아빠에게 미련 버리지 못해…"

▶묘기? 절벽에 한시간동안 붙어있는 산양 화제

▶모토로라 CEO "아내도 LG제품 쓴다" 탄식

▶MB "내가 강장관과 친해서 경질 안 한 줄 아나" 푸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