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 농촌구조 개선사업 문제점 해명 농민 증언과 어긋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농림부가 농촌구조 개선사업의 문제점 보도(본지 11월21일자)에 대한 해명자료를 내면서 농민들의 증언과 다른 허위자료를 배포해 물의를 빚고 있다.
농림부는 22일 본보에 보낸 현지확인서를 통해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온실이 찢어지고 잡초가 무성한 것은 앞 작물을 수확한후 뒷그루 작물 재배기간까지의 휴지기에 자란 것이다▶재배를 포기해 이농한 농가는 없다▶1농가가 경영실패로 여 름에 휴경했으나 연말에 재배할 계획이다▶연료비.인건비를 제외한 순수익은 2천만~3천만원이다.이에 따라 중앙일보는 22일 2면.반론'란에 농림부의 이같은 주장을 게재했다.
그러나 신기마을 농민들은 22일 아침 농림부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관청에 시달려 익명을 요구한 농민들은“21일 면장과 면직원들이 왔을 때도 보도된 내용이 사실이라고 확인시켜 줬다”고 밝혔다.
그들은“이곳에서 정부가 권장했던 연동비닐하우스 농사를 지어 2천만~3천만원의 수익을 올린 사람은 없고 거의가 다른 농사를겸해 지으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농민들은 또“15가구중 김금철.김용이.차병섭.박기수.이수금씨등 5명은 연동비닐하우스 농사를 포기하고 다른 일을 하고있다”고 확인했다.그들은“이중 1명은 주민등록을 놓아둔채 서울로 이사가 버렸고 1명은 식당을 하고 있으며 나머지 3 명은 연동비닐하우스 농사가 아니라 논농사등을 짓고 있다”고 말했다.
농민들은“유리온실 농가 가운데서도 정인덕씨는 일반 비닐하우스로도 재배가 가능한 배추를 심은뒤 뽑지도 않고 방치하고 있고 김병석씨는 관광차 운전기사로 취업하는등 당초 목적대로 유리온실을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농민들은 또“보도가 난뒤 찾아온 면직원들이 농림부 채소과에서대표를 서울로 보내라고 했으나 이를 거절했다”며“농촌 현실을 제대로 보기위해 찾아다니지는 못할망정 농민을 멋대로 오라가라 하는 관료주의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