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칼럼>孔장관 사임 '진실' 캐는데 미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지난주에 있었던 공노명(孔魯明)외무장관의 갑작스런 사표와 관련한 일련의 보도를 보면 사실과 진실의 거리가 얼마나 먼 것인가를 실감하게 된다.중앙일보를 비롯한 거의 모든 신문이 보도한사퇴이유는 명분(名分)은 「건강」이지만 진실은 「인민군전력」을에워싼 문제와 기타의 가능성이라고 분석한바 있다.비록 「인민군전력」은 사실일지라도 그것이 사퇴의 진짜이유를 이루는 진실이 아님은 조금만 관(觀)해 보면 금세 알 수 있는 일이 아닐까.
내가 여기서 구태여 관(觀)이라고 한 까닭은 견(見)과 구분하기 위해서다.견(見)이란 두말할 것도 없이 육안(肉眼)으로 보는 것을 뜻한다.이에 반해 관(觀)이란 사려(思慮)깊게 보는것,다시 말해 「생각의 눈」과 「마음의 눈」으로 보는 것을 뜻한다.사람들은 흔히 육신(肉身)의 눈으로 본 것을 곧 「진실」이라고 여긴다.신문에서 자기의 눈으로 직접 읽었다고 해서 「진실」이라고 믿어버리는 경우도 물론 여기에서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자기가 본 것,또는 자기가 믿는 것이 「진실」이 아닌경우는 얼마든지 있다.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단순히 보는 것(見)보다 생각 깊게 보는 것(觀)이 강조되지 않을 수 없다.
오늘날의 신문은 누가 무엇이라고 하든간에 상품이며,그것도 정보를 수집해 가공(加工=편집)해서 파는 상품이다.여기에서 정보의 수집은 양(量)의 법칙에 좌우되는 반면 정보의 질(質)은 가공에 의해 지배되게 마련이다.그런데 신문은 그 성격으로 말미암아 이른바 정보조작의 대상이 되는 수가 적지 않다.특히 정치나 외교의 세계에서는 어느 것이 조작된 정보인지를 분간하는게 그렇게 쉬운 일만은 아니다.조작된 정보일수록 그럴듯한 사실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 비추어 지난주의 중앙일보는 孔장관의 인민군시절 동료의 인터뷰 기사와 이수성(李壽成)총리의 국회에서의 공식해명등알찬 편집으로 돋보였다고 평가받을 만하다.하지만 「진실」을 파고드는 데에는 미흡한 점이 없었는지 자성(自省) 해 보아야 할것 같다.
지난주의 뉴스 가운데 「뽀빠이」 이상룡(李相瀧)과 관련된 중앙일보의 보도태도는 어떤 의미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을 한꺼번에 드러내지 않았나 하는 느낌마저 준다.「뽀빠이」가 심장병어린이를돕는다면서 수익금과 후원금을 상당액 착복했다는 KBS의 폭로는즉시 받아서 보도했어야만 했다.그러나 중앙일보는 그 폭로에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했다.만약 대처하지 못했다면 일시적 실수로 돌릴 수 있지만,대처하지 않았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그런데 문제는 뒤늦게나마 대처하면서 보여준 보도태도에서 더욱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뽀빠이」의 해명기사를 중심으로 처리한 박스기사는 고육지책(苦肉之策)이었는지 모르지만 편집기교를 부리는 수준 이상의 것이 못되었다.만약 「뽀빠이 」의 해명이 그토록 중요하다면 KBS가 『추적60분』프로를 통해 「뽀빠이」죽이기(?)에 나선 동기와 계기가 무엇이었는지도 아울러 취재해보도했어야 하지 않았을까.
설령 「뽀빠이」의 해명이 중요치 않다고 하더라도 KBS의 「추적」배경은 궁금한 일이며,그 내막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그건 그렇다 치더라도 「뽀빠이」 관련의 KBS보도는 미리 예고된 것이었다는 점이 간과되어서는 안될 것같다.
미리 예고된 것이었기 때문에 조금만 신경을 썼더라면 얼마든지멋지게 커버될 수 있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여운을 남긴다. 이런 일련의 일들은 신문과 방송의 「뉴스커버」에서 제기되는문제들이 어떤 것인지를 웅변해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흔히 신문과 방송은 뉴스보도에서 경쟁관계에 있다고 하지만,나는그것을 단순한 경쟁관계로 보지 않는다.나는 그것 을 보완적(補完的)인 경쟁관계로 규정짓고 있다.
보완적 경쟁의 참뜻은 신문과 방송의 장단점(長短點)을 서로 커버하는데서 독자와 시청자의 정보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경쟁으로풀이될 수 있겠다.한데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의 신문과 방송은 그런 관계의 멋들어진 전개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 신문이 방송보다 더욱 소극적이고 퇴영적이라는 느낌을 받는다.그러나 이제는 시대가 바뀌고 있다.TV를 보고 얻은 정보의 충격과 감동을 다시 활자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독자들의 욕구에 기민하게 대처하는 신문이 선호(選好)된 다는 것을명심해야 할 것이다.
지난주의 중앙일보에서 아쉬웠던 것은 이문옥(李文玉)씨가 감사원에 복직해 첫출근했다는 기사가 누락됐다는 점이다.
李씨의 경우는 그것이 정치문제화된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난달 대법원으로부터 파면무효 확정판결을 받은 것이기 때문에 그의 복직이 당연한 수순(手順)이라고 할 수도 있다.그렇다 하더라도 그의 첫 출근이 가볍게 처리되거나 업신여 겨 다루어지는것은 정도(正道)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파면된 뒤 5년7개월만에 다시 출근하는 것은 분명 하나의 「드라마」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본사고문) 이규행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