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교수자리 팔고 사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교수임용을 둘러싼 비리.잡음이 또다시 부각되고 있다.잠잠하다싶으면 터지는게 교수임용비리다.그만큼 만연됐다는 추정이 가능하다.나라 장래를 짊어진 대학교수직이 돈거래로 결정된다면 이 사회의 공정성과 정의는 어떻게 이뤄질 것인가.자리 를 돈으로 사고 파는 교수가 제대로 된 교육과 연구를 담당할 수 있겠는가.
교수임용비리를 두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비리주체가 재단인경우와 교수인 경우다.많지는 않지만 일부 사립대학의 경우 재단이 앞장서 교수임용에 사례비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가장 특징적인 사례가 이번에 말썽난 강진공업전문대다.
재단이사장이 앞장서 채용소문을 퍼뜨리고 21명의 학위소지자에게 채용을 전제로 12억원을 챙겼다.전임이사장으로부터 17억원을 주고 재단을 인수해선 12억원을 임용비리로 벌충한 가장 저질(低質)의 범죄에 속한다.
교수 스스로 비리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교수공정임용을 위한 모임」이 부정방지대책위에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가짜학위와 대리논문으로 교수에 임용된 사례가 1백46건으로 임용비리의 47%를 차지한다.그밖에 실력있는 신임교수 채용을 방해하거나 학연에 따른 후배 또는 특정인을 선정해 놓고 들러리 공개채용을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는 것이다.
결국 재단이 채용비리에 앞장서거나 교수들 스스로 비리에 조금씩 참여한다는 놀라운 결론에 이른다.대학의 교수채용비리는 대학의 권위뿐 아니라 나라 장래를 망치는 엄청난 죄악이다.단순비리가 아니라 사회의 공정성을 근원적으로 허무는 범죄 행위다.
방법은 결자해지(結者解之)뿐이다.대학 스스로가 풀어야 할 과제다.교수임용에서 재단의 입김을 차단하고 내부인사가 아닌 외부전공자들로 구성된 인사위원회를 구성해 보다 객관적인 심의과정을거쳐 채용해야 한다.몇푼의 임용사례비로 대학이 일어설 수는 없다.작은 이해에 집착하다 대학 전체가 무너지는 큰 폐해를 막기위해 재단과 교수진이 새롭게 태어나는 인사개혁을 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