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으면 경영에 확실히 도움될 겁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중소기업 맞춤형 세미나가 뭔지를 제대로 보여드릴 작정이에요. 이코노미스트를 모셔다가 내년 경제전망이나 들려주는 수준을 넘어서 비즈니스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장을 만들 겁니다.”

다음달 26~28일 서울 광장동 쉐라톤워커힐 호텔에서 ‘이노비즈 글로벌 포럼’을 여는 한미숙(45·사진) 이노비즈협회장은 의욕을 보였다. 헤리트라는 정보기술(IT) 업체를 운영하는 그는 중소기업인들의 힘만으로 국제 세미나를 준비하느라 분주하다. 수백 개 업체가 참가할 정도의 대규모 포럼이나 전시회라면 정부나 공공기관 또는 대기업이 주도하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이 포럼은 규모가 작은 5830개 회원사가 주인공이다. 여기에 중앙일보가 공동주최 회사로 힘을 보탠다. 어떤 행사인지 한 회장에게서 들어봤다.

-포럼의 취지는.

“정부가 혁신 중소기업에 ‘이노비즈’라는 인증을 준 지 6년째다. 이들 기업의 경영 내용을 분석해보니 매출이나 연구개발(R&D)비용·고용률 등 면에서 일반 중소업체보다 월등히 높았다. 평균 매출액은 세 배인 90억원, R&D 비용은 두 배가 넘는 4억원에 달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투자를 아끼지 않고 규모를 키운 것이다. 더욱 크려면 해외로 나가야 한다. 이 포럼은 기술력을 갖춘 이노비즈 기업들을 세계 무대에 알리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중소기업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건가.

“중소기업의 비전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술·관리·마케팅·자금 등 경영의 각 부문에서 현실적인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처음 하는 행사라 홍보에 힘쓰고 있다. 신문 기사만 보고 상당수 회사가 등록했다. 참가업체를 1000개까지 늘리는 게 목표다.”

-주제발표자들의 면면은.

“앨빈 토플러·폴 티파니·케니 탕 같은 해외 저명인사들이 온다. 국내에서는 안철수 KAIST 석좌교수, 윤석철 한양대 석좌교수 등이 연사로 나온다.”

-내세울 만한 홍보 포인트는.

“국내외 석학의 강의는 미래비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하지만 이 밖에 맛깔스러운 비즈니스 프로그램들을 기대해도 좋다. 중소기업인 중에는 기업을 넘기고 다른 일을 하고 싶어하는 이가 많다. 이들을 위해 인수합병(M&A) 전문가들과 만남이 준비됐다. 투자받길 원하는 기업을 위해 벤처캐피털과의 일대일 미팅을 마련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투자자도 온다. 또 삼성·LG 등 5개 대기업과 함께하는 구매 상담회가 열린다.”

-기업인 말고 누가 들어야 하나.

“우리 회원사들은 대체로 성과를 내는 중소업체들이라 대기업이나 은행의 주요 잠재고객들이다. 이노비즈 기업의 70%는 대기업의 아웃소싱 기업이다. 대기업·금융사와 상생의 장이 될 것이다. 대학·연구소도 사업 파트너인 이노비즈 기업들을 제대로 볼 수 있는 기회다. 코스닥 종목 기업의 25%가 이노비즈 기업이다. 정부 인사들도 이 포럼에 나와 중소기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에 반영했으면 한다.”

-백서를 낸다고 하던데.

“협회가 2년간 연구한 기술 기반 중소기업의 실태와 성과를 정리한 백서를 개막 때 발표한다. 정부가 중소기업을 어떻게 육성하고 기업들은 어떤 자구노력을 해야 하는지 교과서처럼 만들 생각이다.”

이봉석 기자

◆이노비즈(Innobiz)=혁신(Innovation)과 기업(Business)의 합성어다. 연구개발을 중시하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뜻한다. 2001년부터 중소기업청이 인증서를 주고 정책 지원을 해 왔다. 창업 후 3년이 넘고 기술신용보증기금의 기술수준평가에서 B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인증을 받으면 정책자금·수출보증 등에서 혜택을 받는다. 인증 기업 수는 1만3957곳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