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분야 국책사업 사회과학 접목돼야 성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대형 이공계 국책 사업의 방향을 잘못 설정하면 혈세 낭비는 물론이고 사회에 큰 짐을 지워주는 걸 봐왔잖아요. 그런 사업 결정 과정에 사회과학이 접목되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김경민(사진)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제정치 전문가다. 그런 그가 이공계 학자들의 독무대였던 원자력과 우주과학, 에너지 분야의 이공계 국책 사업 결정 과정에 뛰어들어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열어가고 있다. 국내에 김 교수처럼 사회과학자가 양 분야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예는 흔치 않다. 김 교수는 정부가 지원하는 국가우주개발기초연구센터를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유일하게 유치해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이공계 학자들은 1+1=2라는 식으로 정확한 것을 좋아하지만, 사회과학에서는 1+1=2가 되기도 하고 0이 되기도 해요. 이공계 학자들은 그런 것을 잘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게 문제지요.”

그래서 김 교수는 이제 이공계가 사회과학자들을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주길 바라고 있다.

그는 2005년도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리장 선정 때 민간 위원으로 활동하며 주민과 정부가 언로를 트는 데 일조했다. 이공계가 사회과학자들을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때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공계 관련 분야 전문가보다 국내외 이공계 산업체, 관련 기관들을 더 많이 방문한다. 미국·유럽·일본의 원자력발전소,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시설, 우주용 로켓 생산 현장, 항공사 등을 방문해 현장감과 관련 분야의 큰 기술 흐름을 놓치지 않으려는 것이다. 조만간 일본 미쓰비시중공업과 보잉사를 방문할 계획이다.

그는 태양광 발전과 풍력발전 장치의 부품 해외 의존도, 외국의 신재생 에너지의 확대 목표치 등을 줄줄 꿰고 있다.

김 교수는 현재 우주 개발, 2014년 있을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에 대한 국민 이해 증진 사업도 관여하고 있다.

“우주 개발만해도 모든 로켓이나 인공위성 등은 모두 이공계 연구진이 만들지만, 국민의 지지 없이는 사업 확대나 지속은 어려워요. 국민에 가깝게 가야지요.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 작업은 거의 대부분이 외교에 속합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원자력 전공자들과 공무원이 나서서 일을 처리해 왔거든요.”

사회과학자가 이공계 국책 과제 결정에 조언을 하기 위해서는 미·적분 같은 것은 알 필요 없지만 중요한 기술 흐름은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