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 여건 되면 다시 할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2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여건이 조성되고 국민이 필요하다고 하면 대운하 사업을 다시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운하와 관계없이 서울~인천을 잇는 경인운하 건설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민주당 김세웅 의원이 “한반도 대운하 사업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느냐”고 묻자 “정치적 입장을 떠나 차분히 논의할 시간이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운하가 취소된 것이냐 중단된 것이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의 특별 담화로 인해 당초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려던 대운하 사업이 중단된 상태”라고 답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6월 특별담화를 통해 “국민이 반대하면 대운하 건설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의 대운하 관련 조직과 연구팀이 해체됐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선 아무 논의가 없었다”며 “대운하는 곽승준 전 국정기획수석 소관이었는데, 그가 그만둘 때쯤 대운하가 사실상 동력을 잃어 현재는 담당자도 없다”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여건이 되면 논의를 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지 사업 재개를 염두에 둔 발언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경인운하와 관련해 국토부는 업무보고 자료에서 “2006년 용역 결과를 토대로 기본 계획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타당성을 검증받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인운하는 서울 강서구 개화동에서 인천 서구 시천동을 거쳐 서해로 이어지는 길이 18㎞, 폭 80m의 운하를 말한다.

국토부는 1995년부터 경인운하 건설을 추진했으나, 환경단체의 반대로 노무현 정부 초기인 2003년 중단됐다. 지금은 홍수 예방을 위한 방수로 공사만 진행 중이다. 국토부는 방수로를 그대로 두면 물이 썩기 때문에 운하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홍종호 한양대 교수는 “경인운하가 처음 추진됐던 90년대 중반과 달리 지금은 제3경인고속도로가 건설될 정도로 서울~인천 간에 다양한 대체 교통 수단이 생겼다”며 “2006년 용역보고서도 홍수 방지 효과가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내년 상반기에 혼자 사는 노인이나 직장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기숙사형 1인 주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