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제철] 전남 영암 무화과 달콤하고 비타민·미네랄 풍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영암군 삼호읍에서 문인숙(49)씨가 무화과를 수확하고 있다. 수확은 신선도 유지를 위해 이른 아침에 한다. [사진=프리랜서 오종찬]

무화과는 아직도 대중화되지 않아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을 못 본 사람이 적지 않다. 껍질이 얇고 과육이 연하고 수분이 많아 쉽게 변질하는 바람에 저장성이 떨어지고 유통 기간이 짧기 때문이다. 전남 영암군 삼호읍에서만 집중적으로 재배되는 영향도 크다.

영암군 삼호읍에서 햇무화과가 나오기 시작했다. 다른 과일과 달리 나무 아래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열매가 익어 가는 특성 때문에 11월 초순까지 계속 맛볼 수 있다. 영암군 삼호읍은 전체 750여 가구 가운데 약 600가구가 총 259㏊의 무화과 농사를 짓고 있다. 한 해 수확량이 1000t 안팎으로 우리나라 전체의 65%를 차지한다. 삼호농협 박일홍(36)씨는 “우리 읍에서 무화과로 거두는 수입이 지난해의 경우 58억원”이라고 말했다.

삼호읍을 무화과의 주산지로 만든 사람은 서울대 농대를 졸업하고 고향에서 농사를 짓다 1971년 삼호농협 설립과 함께 조합장을 맡은 고 박부길(1941~73)씨다. 박준영 전남지사의 형이기도 한 그는 무화과가 건강에 좋아 전망이 밝다는 점을 알고 농민들에게 재배 방법을 교육하고 꺾꽂이를 해 많이 심게 했다. 집 뜰이나 울타리에 한두 그루씩 있던 무화과를 야산 등에 집단으로 심어 소득 작목으로 재탄생시킨 것이다. 그러나 박씨는 73년 8월 첫 수확을 눈앞에 두고 교통사고로 32세의 젊은 나이에 목숨을 잃었다. 박씨의 부인 최금자(65)씨는 “무화과가 많은 소득을 안겨 주자 주민들이 공적비를 세워 주기도 했다”고 말했다.

무화과는 상온에서는 딴 지 하루가 지나면 변하기 시작한다. 냉장시설과 교통이 발달하지 않은 시절에는 소비자 손에 가 보지도 못한 채 썩어 버리는 것이 적지 않았다. 저장 기술이 발달하고 웰빙 바람이 불면서 수요가 늘고 있다. 가격은 수확 시기의 날씨에 따라 들쭉날쭉하지만, 요즘 현지 소매 가격은 ㎏당 8000원 정도. 삼호농협은 아이스 팩을 넣은 4㎏짜리 상자를 3만5000원(택배비용 포함)에 보내 준다. 문의 011-441-2091, 061-464-6010.

이해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