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헬기 운항 활성화 시급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3월부터 한강 중지도~김포공항과 중지도~대전을 잇는 여객헬기가 매일 운항될 전망이라는 보도(중앙일보 22일자)를 접했다.
건설교통부 고위관계자의 이같은 발언은 올해 전국에 공공용 헬기장 17곳을 만든다는 지난해 건교부의 발표와 함께 헬기운항의활성화라는 점에서 환영한다.이는 교통체증의 부분적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
중앙일보가 11일 보도한 「긴급해도 날 수 없는 서울하늘」이란 기획기사는 헬기운항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항공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언론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사회적 여론환기와 해결책 제시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한 자세라고생각한다.
최근 우리나라는 국민소득 증대와 산업발전에 따라 다양한 시간가치를 가진 사람들의 교류와 활동이 잦아졌다.그러나 도시교통과고속도로의 체증으로 시민생활및 산업활동 등 사회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다.이 점에서 헬기는 많은 이점을 갖고 있다.좁은공간에서 수직이착륙이 가능하고 전후좌우비행,제자리비행,수직상승과 무거운 물건을 달고 다니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 교통수단이다.때문에 도심교통.벽지및 도서지방 운송 등 다양한 형태의 항공운송과 특수목적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서지방이나 자연환경이 뛰어난 지역에 비행장 건설에 따른 환경.생태계 파괴없이 항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헬기운항사업은 값비싼 헬기와 운영비 등 비용이 많이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운임구조를 갖고 있다.투자비 회수에도 장시간이 걸려 개인및 기업 단독으로 모든 투자를 부담하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시간가치를 따지는 사람들의 사회적 기여도를 생각한다면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한 사업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헬기운송활동을 막는 문제점은 여러가지다.공간및 운항활동에 대한 지나친 행정규제와 헬기장의 절대부족이 대표적이다. 게다가 높은 여객운임과 국민들의 헬기이용에 대한 인식부족등으로 운송수요가 적다는 것도 문제로 꼽을 수 있다.
결국 수도권 비행금지구역을 현행 4.5해리(8.3㎞)에서 1~2해리로 축소 조정해야 한다.비상착륙지점설정및 사전허가제,예비연료탑재량,군비행장 사용승인신청제도 등이 개선되지 않는 한 헬기운송 활성화는 요원하다.
부족한 헬기장 문제는 입지부족,소음문제,재정투자의 어려움 등에서 비롯된다.헬기장은 국제적으로도 육상.수상.선박.건물옥상에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입지를 적절히 이용해야 한다.
공공용헬기장을 연차적으로 늘리는 동시에 전국에 산재한 민.관.군 헬기장 2백12곳도 시설보강과 사용협조를 통해 공공용 헬기장으로 이용이 가능하다.95년1월 관광객 수송을 위해 서울~대관령간에 개설한 노선이 승객부족으로 중단된 것도 여객운임과 탑승 불편이 주요 원인이었다.
일본의 경우 1987년 헬기운송사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각종규제조치를 완화하고 헬기장 건설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한 사례도 있다.미국은 오지지역에 운항하는 필수항공노선(ESA:Essential Air Service)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가있고 헬기구입때 최고 85%까지 헬기를 담보로 금융지원을 하기도 한다.
정부 각 기관이 보유한 헬기를 민간업체에 위탁함으로써 정부예산 절감은 물론 헬기운송업체의 채산성을 높여 여객요금의 적정화를 꾀하는 것도 필요하다.
양한모 항공大교수 (항공교통)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