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외교 강화” 해외 주재 공무원 대이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부 각 부처에서 해외에 파견한 주재관들의 재배치를 앞두고 공무원 사회가 들썩이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8월 말부터 해외 공관에 파견된 주재관들의 재배치가 이뤄진다고 25일 밝혔다. 주재관은 외교부가 아닌 정부 각 부처 공무원으로 외교관 신분을 부여받고 해외 공관으로 파견된 인력을 말한다. 특히 정부는 이번에 미국·일본·중국 등 선진국이나 강대국 위주로 배치돼 있는 인력을 중동·아프리카·중앙아시아 등지로 대폭 이동시킨다는 방침을 정해 놓고 있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중요 외교 과제로 부상한 자원·에너지 외교를 강화하기 위한 포석의 일환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 주재관 및 직무 파견 명목으로 모두 305명의 공무원이 71개 해외 공관에 배치돼 있다. 이 중 전체의 43%인 130명이 미국·일본·중국의 3개국에 집중돼 있다. 반면 중동·아프리카 등 40개 국가의 에너지 외교 거점공관에 근무하는 주재관은 41명에 지나지 않으며, 업무도 경찰 주재관 등 에너지 외교와 관계없는 인력이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선 부처 통폐합 등 정부조직 개편의 여파로 감소될 38명의 주재관 중 20명을 저개발 및 에너지 외교 거점국가에 우선 재배치하기로 했다.

대표적으로 주재관 수가 47명에 이르는 미국에서 10명을 줄여 나이지리아·카자흐스탄 등 에너지 외교 및 민간기업 활동 지원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전환 배치할 방침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8월 말부터 38명 중 20명의 재배치가 이뤄질 예정”이라며 “정부조직 개편에 따른 부처 통폐합 등으로 나머지 18명은 순감축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주재관 재배치에 앞서 이미 올 4월 외교부 소속 외교관들을 재배치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유럽·유엔 등 선호지역에 근무하던 32명의 외교관을 중동·아프리카로 옮겼는데 대부분 외교부 내에서 능력을 인정받는 우수 인력이었다”며 “에너지외교 역량 강화란 정부 방침에 부응하기 위한 인사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또 “앞으로도 정기발령을 통해 선진국에 근무했던 엘리트 중견 외교관을 에너지 외교 공관 및 저개발국 공관에 추가 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예영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