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씨 비자금 수사-주변인물 수사 통해 全씨 압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2.12및 5.18사건을 재수사중인 서울지검 특별수사본부는당초 29일께 전두환(全斗煥)전대통령의 비자금부분에 대한 수사결과를 발표하고 이 부분에 대해 全씨를 추가기소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비자금부분에 대한 추가기소는 내년 1월중순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업인 조사등을 통해 全씨가 재임당시 2,000여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은 확인했으나 이 돈의 구체적인 이동경로와 사용처및 남은 액수등이 명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全씨는 비자금부분에 대해 입을 굳게 닫고 있는데다 퇴임후 시간이 많이 흘러 돈이 수억원단위로 쪼개져 그만큼 추적이 어렵다.수백억원이 한꺼번에 움직였던 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의 경우와다르다는 얘기다.
검찰은 200여개로 알려진 全씨 비자금계좌의 자금추적과 함께全씨의 비자금을 은닉.관리해 주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측근과 친인척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친형인 기환(基煥)씨와 손아래동서 홍순두(洪淳斗),처남 이창석(李昌錫)씨를 불러 조사했고 사돈까지도 소환 대상자에 포함돼 있다.안현태(安賢泰)전경호실장이 소환돼 조사를 받았으며 29일엔 장세동(張世東)전안기부장이재소환됐다.
주변 인물 수사를 통해 全씨를 압박해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비자금수사와 관련,그동안 극도의 보안을 유지해왔던 검찰은 28일부터 소환 대상을 공개하는등 적극적인 태도로 돌아섰다.이를뒤집으면 이 부분 수사에 어느정도 진전이 있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또 종전의 소환대상자들과는 달리 全씨의 장남 재국(宰國)씨의장모인 김경자씨는 29일 소환통보를 받고 종적을 감춰 검찰수사가 비자금의 실체에 접근하고 있음을 암시해준다.
현재 검찰 수사의 초점은 비자금의 구체적인 이동경로와 1,000억원대로 알려진 잔액의 보유실태및 사용처 규명이다.
검찰은 이미 全씨가 88년2월 퇴임을 전후한 시기에 거액의 무기명 채권과 무기명 예금증서등을 매입하는 방법으로 비자금을 은닉.관리해 왔으며 93년8월 실명제 실시직후 동북아전략연구소김승환(金昇煥)소장을 통해 20억원의 산업금융채 권을 현금으로되바꾸는등 실명제후 비자금관리에 비상이 걸렸던 사실등을 확인했다.全씨 비자금의 전모가 드러날 날도 멀지 않았다는 게 검찰주변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김진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