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로 드러날 북극해 자원 챙기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자원의 보고 북극해. 인접 국가들의 선점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이들 국가의 무력훈련 각축장이 되고 있다. 북극해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서서히 녹으면서 자원개발 가능성이 높아지자 러시아·미국·캐나다 등 인접국들이 무력충돌까지 감안할 정도로 사활을 건 경쟁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북극해 해저에는 100억t이 넘는 석유와 가스가 묻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1982년 제정된 유엔 해양법에 따라 이 해역에 대한 개별 국가의 주권은 인정되지 않고, 인접국들의 200해리(370km) 경제수역만 허용되고 있다.

18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러시아 원자력 쇄빙선 8대가 지난 몇 개월 동안 최대 2.4m 두께의 얼음을 깨뜨리면서 북극 빙하 지역을 순찰하고 있다. 탐사 목적도 있지만 북극해에 대한 영유권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다. 또 거의 매주 러시아 폭격기가 북극해 상공을 비행하면서 가상 적국의 선박과 기지를 폭격하는 모의 훈련도 하고 있다. 러시아는 북극해 감시를 위해 향후 5년 내 인공위성 7기를 발사하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과학연구 전용 함대를 창설하는 계획도 검토되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해 8월 북극해 해저에 잠수정을 내려보내 처음으로 자국 국기를 꽂았다. 이곳이 자국 영토임을 선언하는 상징적 행위였다. 이런 러시아의 공세에 인접국들도 맞대응에 나섰다.

미국은 올해 북극해와 접한 알래스카에서 ‘북극 지방-2008’로 이름 붙여진 대규모 군사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 북극해 해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자료를 축적하기 위해 4년째 해저 지형 탐사 활동을 해오고 있다.

캐나다는 북극점 여행의 전초기지인 레졸루트 베이와 버핀섬에 혹한 전투훈련소를 설립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2000만 달러(약 208억원) 규모였던 북극해 해저지도 제작 예산도 2배로 늘리기로 했다.

각국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군사충돌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 해안경비대는 지난달 “북극해 자원 확보 경쟁으로 군사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미국이 위기 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철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