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외국보다 10~20% 비싸다-美.대만.중국비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최근 컴퓨터업계에 경쟁적으로 일고 있는 가격인하 바람에도 불구하고 국산 컴퓨터 가격은 미국은 물론 경쟁국인 대만.중국에 비해 아직도 비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데스크톱의 경우 대부분 기종이 대만.미국보다 20%,중국에 비해선 10% 정도 비싸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다만 최근 대폭 가격인하한 노트북만이 美 동급 기종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같이 국산 컴퓨터 가격이 비싼 것은 우선 부품조달체계의 문제점 때문으로 지적된다.PC에 내장되는 부품은 국내 수입상에서제조업체 손에 들어오기까지 2~3단계의 유통과정을 거치는데 단계마다 10% 정도씩 유통마진이 붙기 때문이다.
한국정보산업연합회 기획조사부 윤태권(尹泰權)차장은 이에대해 『대만의 경우에는 중소업체들끼리 상우회등을 조직,주요 부품을 일괄 수입하기 때문에 중간유통마진을 크게 줄이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PC업체들이 이같은 조합을 만들어 대처해 야 한다』고지적한다.
또 다른 원인은 컴퓨터부품 수입관세가 경쟁국보다 높다는 점.
컴퓨터 제조원가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중앙처리장치(CPU)의 경우 대만등이 관세가 전혀 없는데 비해 우리나라만 8% 정도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이로인해 4만~5만원 정도의 추가 원가부담이 발생한다는 것이 메이커측의 설명이다.
이밖에 제조업체에서 수백개씩의 대리점을 직접 관리하는데 따른관리비용도 원가상승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국내 PC 가격이 외국에 비해 비싸다는 주장에 대해 메이커측은 외국 업체에 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제공하는 점등을 감안해야 한다고 주장한다.LG전자 PC상품기획팀 김기정(金基定)팀장은 『미국 업체들은 윈도용 워드프로세서 를 내장하지않는데 비해 우리나라 대부분 메이커들은 이를 무상으로 제공한다』며 『이런 점을 감안하면 국내 PC 가격은 미국보다 10% 정도 비싼 수준』이라고 말했다.
〈金泰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