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초점>건교위-해양오염은 인재 與野 한목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26일 국회 건설교통위 국정감사 2반(반장 朴在鴻의원)의 부산지방항만청 감사에서는 해양오염 문제가 최대쟁점이 됐다.
의원들은 지난 7월의 시프린스號 사고에 이어 부산 앞바다에서제1유일號 원유 유출사고가 발생,적조(赤潮)현상과 함께 동남해안 일대를 황폐화한데 대해『인재(人災)』라며 분노를 표시했다.
민자당 의원들도 전날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이 위문차 다녀간데고무된 듯 맹렬한 공세를 폈다.
부산출신인 김진재(金鎭載)의원은『부산항에는 하루 20여척의 유조선이 드나든다』며 선사(船社)의 안일한 인식,항만당국의 안전대책 허술등이 타파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운환(金운桓)의원은 아예『피해 어민들은 이제 자살날짜 택일만 남았다』고 몰아붙였다.
야당의원들은 좀더 구체적이었다.
선원교육 미흡,장비부족,전담부서 부재(不在)등을 지적했다.최재승(崔在昇.국민회의)의원은『선원 교육기관인 해기(海技)연수원에서 직무교육만 시킬 뿐 원유유출에 대한 처벌규정등 안전교육이전혀 실시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같은 당 소속의 이윤수(李允洙).김영배(金令培)의원등은『국내해상 무역량의 60%를 차지하는 부산항에 청소선 2척,오일펜스1천4백가 방제장비의 전부인 현실』을 지적했다.이들은『해양오염방제행정이 항만청.수산청.해경(海警)등으로 삼원화돼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며 일원화를 촉구했다.
답변에 나선 민병성(閔丙盛)부산지방항만청장은『부임하자마자 방제예산 확충등을 건의했으나 아직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해명은 여야의원들의『부산항에 방치돼 있는 폐선5척도 예산이 없어 못 치우느냐』는 공박으로 무색해졌다.
〈金鉉宗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