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도시 원주 “이젠 금연·절주·운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지난 8일 원주시 청사 금연빌딩 선포식에서 김기열 시장(오른쪽에서 다섯 번째) 등 인사들이 모형 담배를 자르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원주시 제공]

원주시에는 국제걷기대회뿐 아니라 매달 웰빙걷기대회가 열리는 등 시민 건강을 위한 다양한 걷기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원주시 제공]

지난 7일 김기열 원주시장은 시청사를 금연빌딩으로 선포했다. 모형 담배를 절단하는 퍼포먼스를 벌였고, 청사에 ‘금연빌딩’ 현판을 달았다. 이로써 지하 2층, 지상 10층 전체가 담배연기 없는 건물이 됐다.

이날은 세계 보건의 날이자 세계보건기구(WHO) 건강도시에 가입한 원주시가 ‘원주시민 건강의 날’로 정한 지 네 번째 맞는 날. 원주시는 금연빌딩 선포를 계기로 금연정책을 추진하고, 금연운동에 동참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앞장설 방침이다.

◇건강한 생활을 위한 인프라=원주시가 건강도시에 가입한 것은 2004년.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기로 하고 서울시 등 국내 3개 도시와 함께 WHO 서태평양지역 건강도시연합 창립 회원도시로 가입했다.

2005년 1월 전담부서인 건강도시팀을 만들고, 4월에는 건강도시 원주 선언 및 원주시민 건강의 날 조례를 제정해 공포했다. 모든 시민이 높은 수준의 건강한 생활을 하는 것은 기본적 권리로 시민 누구나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2006년 2월 건강체육지식산업단으로 전담부서를 개편하고, 시민이 건강을 위해 다양한 운동과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시설을 늘리는 것과 함께 각종 건강증진 프로그램, 환경개선 사업을 동시에 추진했다.

2006년 7월 수영장과 농구연습장 등 다목적 기능의 원주국민체육센터를 준공하고, 인라인스케이트 농구 족구 등을 할 수 있는 젊음의 광장도 만들었다. 단관지구 근린공원에는 2007년 우레탄 트랙을 갖춘 인조잔디구장을 만들었다. 또 내년까지 풋살 론볼링 지압로 야외헬스기구 등을 갖춘 1만3000㎡ 규모의 생활체육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명륜동 종합운동장 일대 26만㎡가 종합건강타운 헬스파크가 된다. 원주시는 시민 건강에 영향을 주는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2005년 39대를 시작으로 2010년까지 131대의 디젤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바꿀 계획이다. 디젤 청소차량도 2대를 천연가스차로 바꿨다.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원주시가 시민 건강을 위해 벌이는 사업은 금연과 절주, 운동 등 크게 세가지에 70여 개 프로그 램을 운영하고 있다. 2006년 원주시의 흡연율은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은 43%로 이를 낮추기 위해 금연 5일 교실,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청사 금연빌딩에 이어 금연의 거리도 조성하는 등 올해 말까지 흡연율을 40%로 낮출 계획이다.

술 덜 마시는 사회를 위해 매주 수요일을 ‘절주의 날’로 운영하고 대학가에서도 절주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벌이고 있다. 지난해와 올해 보통 소주잔의 3분의 1 크기인 절주잔 1만5000개를 만들어 식당과 군부대에 보급했다.

영양사업으로 주부 비만탈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어린이 비만 예방캠프, 어린이 영양 인형극 공연, 노인복지시설 및 어린이 시설 식단 제공 등 다양한 사업을 펴고 있다.

일주일에 5회 이상, 30분 이상 운동하는 운동실천율을 높이기 위해 매달 웰빙 걷기대회, 걷기교실, 걷기사랑 캠페인, 줄넘기 왕 선발대회 등을 열고 있다. 특히 해마다 국제걷기대회를 개최하는 등 걷기 생활화 운동을 벌여 미투리, 원주첫토회, 치악사랑걷기회 등 동호회가 잇따라 생기고 있으며 걷기연맹 회원만도 5000여 명에 달한다.

체지방률이 36.5%로 조사돼 2006년 비만탈출 프로그램에 참가한 이후 걷기의 매력에 빠졌다는 윤세훈(54·여·명륜동)씨는 “비만에서 벗어난 후 걷기운동으로 아픈 곳이 없을 만큼 건강을 되찾았다”며 “지난달 30일 평창 진부에서 강릉까지 걸었다”고 자랑했다.

원주시는 이들 사업에 담배소비세 전액을 투자하고 있다. 원주시 담배소비세는 2006년 185억 원, 지난해 190억 원에 달한다. 이 시책은 2006년 건강도시협회 회의에서 우수 정책으로 평가됐다. 김 시장은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건강도시에 가입하고 이와 관련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며 “담배소비세가 모두 없어져 다른 재정을 끌어오더라도 금연이 시민운동으로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