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기업 인사 때 낙선자는 기용 안 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청와대가 향후 공기업·산하단체 인사나 정부·청와대 인사와 관련해 공천 탈락자들은 기용을 검토하되 총선에서 낙선한 인사들은 원칙적으로 배제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이날 “공천을 받지 못해 유권자들로부터 선택받을 기회를 아예 갖지 못한 낙천자들과 달리 총선 낙선자들은 국민으로부터 심판을 받은 것으로 봐야 한다”며 “청와대가 향후 인사에서 낙천자와 낙선자를 분리해 기용하는 방침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의 이런 방침은 선거에서 낙선한 인물을 곧바로 다른 자리에 배려하는 것은 국민 보기에도 좋지 않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도 “전체적인 틀에서 방향은 맞다”고 확인했다. 청와대의 이 같은 방침은 총선에서 낙선한 인사들을 공기업이나 정부 산하기관에 ‘낙하산 인사’로 내려 보내던 과거의 관행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노무현 정부 때도 총선 낙선자들이 곧바로 전공·경력과 무관한 공기업이나 정부 산하단체의 사장·감사 등에 임명돼 이를 둘러싼 논란이 임기 내내 끊이지 않았다. 청와대의 ‘낙천자 선별 기용, 낙선자 원칙 배제’ 방침이 공기업과 정부 산하단체 인사는 물론 특임장관 임명 등의 내각 인사, 또 청와대가 임명을 검토 중인 대통령 특보 인사 등에도 철저히 지켜질 경우 한나라당으로선 낙선자들을 배려할 만한 방안이 사라지게 된다. 이 때문에 자칫 청와대와 한나라당 간의 갈등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래서 11일로 예정된 이명박 대통령과 강재섭 대표 간의 첫 정례회동에서 이와 관련된 어떤 논의가 오갈지 주목된다. 한편 청와대는 한꺼번에 손을 대면 급격한 개혁에 국민들이 피로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총선 이후로 미뤄 놓았던 공기업 통합과 민영화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숫자에 급급하거나 무를 썰듯 하는 방법이 아니라 창조적이고 실용적인 아이디어들을 토대로 공기업 개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서승욱 기자

▶ [J-HOT] “정부·공기업 인사 때 낙선자는 기용 안 해”

▶ [J-HOT] 과반 얻은 MB… 더 세진 박근혜… 상생?

▶ [J-HOT] "김수환 추기경, 박근혜·친박연대-昌·선진당에 관심"

▶ [J-HOT] 민주당 이인영 "3~5년 사이에 국민들 폭발할것"

▶ [J-HOT] 정동영·김근태계 몰락… 당 권력 진공상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