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사설로 언어능력 키우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문 사설은 논술과 언어영역 비문학 공부에 도움이 되고, 배경지식도 넓힐 수 있다. 꾸준한 학습이 가장 좋지만, 한 달만 연습해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 매주 3∼4편의 사설을 읽고 분석·구조화 연습을 하면 된다.

사설 어떻게 공부하나
 ①논제·단락별 중심 내용 파악
 제목을 보고 논제를 파악한다. 사설은 대부분 제목에 논제를 제시한다. 형식적으로 나눈 단락을 기준으로 중심 문장을 찾는다.
 ②분석
 가장 공을 들여야 하는 부분이다. 내용을 꼼꼼히 읽은 후 글을 분석한다. 사설은 보통 앞 부분에 중심 문장이 오고, 다음에 이를 뒷받침하는 문장이 나온다. 뒷받침하는 문장은 부연·예시·비유·인용·비교·대조·유추·가정 등으로 제시된다. 논증(논거)도 파악해야 한다. 논리적 주장을 펴려면 논증이 필요하다.
 ③구조화
 핵심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는 방법이다. 구조화 연습을 계속하면 속독을 하면서 정독이 가능해지고,핵심 내용을 파악하는 힘도 생긴다.
 
사례

[중앙일보 사설] 학교 간 학력격차 완화책 뒤따라야
 전국 중1 학생이 치른 학력 진단평가에서 지역·학교 간 학력 차이가 드러났다. 영어·수학 과목에선 서울·부산 등 대도시 지역 우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서울에서도 강남과 강북의 차이가 컸다. 학교별로 영어·수학 평균 점수가 많게는 20점 안팎의 차이가 벌어졌다. 이런 학력 격차가 새삼스러운 건 아니다. 이번에 수치를 통해 구체적인 실태의 단면이 드러난 것뿐이다.
 그간 우리 교육 현실에서 지역·학교 간 학력 격차 공개는 금기였다. 학생과 학교를 서열화하고 시험경쟁으로 내몬다는 이유에서다. 전교조와 일부 교육단체들이 이번 학력평가 성적 공개를 반대한 명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실재하는 학교 간 학력 격차를 감추는 게 능사는 아니다. 외려 현실을 인정하고 학력 격차를 줄이는 방안을 찾는 게 교육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다. 물론 학력 격차에 사교육 영향이 크다는 것도 그른 지적은 아니다. 그렇다고 공교육이 학력 격차 해소에 손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먼저 교사와 학교가 나서야 한다. 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토대로 학교 단위 수업 혁신 방안을 찾는 게 학력 격차를 줄이는 첫걸음이다. 정규 수업이나 방과 후 프로그램에서 수준별 분반 활동을 하거나 부진 과목 집중 학습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 등이 그 예다. 공부 잘하는 학생은 더 잘하게 하고 부족한 학생은 더 분발하도록 이끄는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 이젠 교사와 학교 간 경쟁이 일상화돼야 한다.
 교육당국도 학력 격차를 줄이는 합리적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 교육 낙후 지역에 대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차등화하는 방안도 그중 하나다. 형편이 어려운 가정이 많은 지역이라면 학교 안에서 방과 후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력 증진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늘려야 한다. 비슷한 여건인데도 학력이 떨어진다면 원인 진단과 함께 우수 학교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연수 프로그램 제공도 한 방법이다. 연말에 실시하는 성취도 평가 결과 진단평가에 비해 성적 수준이 향상된 학교와 교사에겐 과감한 인센티브를 줄 필요도 있다.
 
사설 분석·구조화
 [사설 제목] 학교 간 학력격차 완화책 뒤따라야
 [주제] 학교 간 학력격차 완화책 필요
 전국 중1 학생이 치른 학력 진단평가에서 지역·학교 간 학력 차이가 드러났다.(예시) 영어·수학 과목에선 서울·부산 등 대도시 지역 우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서울에서도 강남과 강북의 차이가 컸다. 학교별로 영어·수학 평균 점수가 많게는 20점 안팎의 차이가 벌어졌다. 이런 학력 격차가 새삼스러운 건 아니다. 이번에 수치를 통해 구체적인 실태의 단면이 드러난 것뿐이다. - 전국 학력 진단평가에서 지역·학교 간 학력 차이가 나타났다.
 
그간 우리 교육 현실에서 지역·학교 간 학력 격차 공개는 금기였다. 학생과 학교를 서열화하고 시험경쟁으로 내몬다는 이유에서다. 전교조와 일부 교육단체들이 이번 학력평가 성적 공개를 반대한 명분이기도 하다.(대조) 그러나 실재하는 학교 간 학력 격차를 감추는 게 능사는 아니다. 외려 현실을 인정하고 학력 격차를 줄이는 방안을 찾는 게 교육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다. 물론 학력 격차에 사교육 영향이 크다는 것도 그른 지적은 아니다. 그렇다고 공교육이 학력 격차 해소에 손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 학력 격차를 줄이는 방안을 찾아야한다.
 
먼저 교사와 학교가 나서야 한다. 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토대로 학교 단위 수업 혁신 방안을 찾는 게 학력 격차를 줄이는 첫걸음이다. ①정규 수업이나 방과 후 프로그램에서 수준별 분반 활동을 하거나 ②부진 과목 집중 학습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 등이 그 예다. 공부 잘하는 학생은 더 잘하게 하고 부족한 학생은 더 분발하도록 이끄는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 이젠 교사와 학교 간 경쟁이 일상화돼야 한다. -학교 측면의 구체적 방안
 
교육당국도 학력 격차를 줄이는 합리적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 ③교육 낙후 지역에 대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차등화하는 방안도 그중 하나다. ④형편이 어려운 가정이 많은 지역이라면 학교 안에서 방과 후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력 증진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늘려야 한다. ⑤비슷한 여건인데도 학력이 떨어진다면 원인 진단과 함께 우수 학교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연수 프로그램 제공도 한 방법이다. ⑥연말에 실시하는 성취도 평가 결과 진단평가에 비해 성적 수준이 향상된 학교와 교사에겐 과감한 인센티브를 줄 필요도 있다. -정부 측면의 구체적 방안

내용 구조화
 [논제] 이번 학력 평가에서 학교 간 학력 격차 나타남. 학력 격차를 줄이는 방안 필요.
 [해결 방안]
 ■ 학교 차원
①수준별 분반 활동
②부진 과목 집중 학습지도
 ■ 정부 차원
③교육 낙후 지역, 행정, 재정적 지원
④방과 후 프로그램 지원
⑤우수 학교 사례 벤치마킹
⑥평가 결과에 따라 학교 교사에 인센티브 지급

배선영 남구 대성학원 국어과 강사 / 051-627-7541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