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재산신고] 진태구 군수 262억 땅부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28일 고위공직자 2182명의 재산변동 신고내역이 공개됐다. 국회 사무처 직원들이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국회의원 298명의 재산변동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조용철 기자]

고위 공직자 역시 최고의 재산증식 수단은 부동산이었다. 28일 공개된 재산변동 신고내역을 분석한 결과 고위 공직자 대다수가 부동산으로 재산을 불리고 있었다. 구본충 행정안전부 윤리복무관은 “고위 공직자 재산 증가액의 3분의 2는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행정부=부동산 정책 주무부처인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와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 공무원들도 부동산으로 재미를 봤다. 이들이 1년간 늘린 재산의 86%가 부동산 가치 상승분이었다. 조원동 재경부 차관보(현 총리실 국정운영실장)는 전체 재산신고액의 95%인 26억3575만원이 아파트·오피스텔 등 부동산이었다.

‘유조선 참사’를 겪은 태안군의 진태구 군수는 257억원의 재산을 신고해 총액 1위를 기록했다. 태안군 관내에 논밭·임야를 262억원어치나 보유한 땅 부자였다. 송명호 평택시장도 평택시 팽성읍의 밭 등 5건의 토지 수용으로 39억원의 재산이 급증했다.

지방 광역단체장들은 서울에 사놓은 부동산 덕을 톡톡히 봤다. 정우택 충북지사는 서초구 아파트값이 5억2000여만원이나 올랐다. 박광태 광주시장, 이완구 충남지사의 서울 아파트도 4억원과 2억1000만원이 올랐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재산은 최근 2년간 30억9000만원이 불어났다. 시장 취임 직후인 2006년 8월 24억8000만원에서 지난해 3월에는 44억7000만원으로, 이번에는 55억7000만원으로 뛰었다. 본인과 가족이 은행과 증권·보험사에 맡긴 돈이 28억6000만원이나 늘어났다. 반면 김문수 경기지사의 재산은 2억6000만원으로 2년간 2500만원 줄었다.

지방의회 의원도 재산이 많이 불어났다. 재산이 많이 늘어난 행정부 고위 공직자 상위 열 명 중 여섯 명이 지방의회 의원이었다. 박주웅 서울시의회 의장의 재산은 75억원으로 1년 전(35억원)보다 40억원 증가했다. 전체 행정부 고위 공직자 중 재산증가액 1위에 올랐다. 그러나 박 의장은 이날 “재산 총액은 46억원인데 착오로 75억원으로 신고됐다”고 해명했다.

◇입법·사법부=법원과 검찰 고위 간부의 재산 불리기에서도 부동산은 일등공신이었다. 대법관 중 8명, 헌재 재판관 중 7명이 서울 강남·서초 일대에 아파트나 단독주택을 1채 이상 보유한 덕분이다.

송두환 재판관이 소유한 대치동 개포우성아파트는 5억2000여만원 올라 19억2800만원이 됐다. 이공현 재판관의 삼성동 현대아이파크는 3억8600만원 상승, 25억6000여만원이 됐다.

법무부와 검찰 간부들도 지난해 재산이 1인당 평균 3억3992만원 늘었다. 검찰 내 재산 증가 1위인 한상대 법무부 법무실장은 본인과 부인 명의 서울 용산구 아파트 두 채 값이 10억6750만원이나 올랐다.

국회의원 298명의 재산도 지난해보다 평균 1억7874만원 늘었는데 부동산 가격 변동분(1억8687만원)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토지(1817만원)보다는 아파트·주택 등 건물분(1억6869만원)의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유가증권 변동분은 9058만원에 그쳤다. 국회의원 재테크 수단으론 건물이 가장 낫고, 유가증권과 토지 순이었던 셈이다.

글=박신홍·주정완 기자, 사진=조용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