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호의 컴퓨터 이야기] 냄새 맡는 컴퓨터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54호 39면

프랑스 최고의 요리사를 꿈꾸는 ‘레미’. 그는 뜨거운 열정과 절대미각, 그리고 누구보다 뛰어난 후각의 소유자다. 하지만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으니, 바로 ‘주방의 적’ 생쥐라는 것이다. 레미의 아버지는 멋진 음식을 만드는 데 쓰고 싶어 하는 아들의 후각을 음식물에 든 쥐약을 감지하는 데 이용, 많은 동료의 생명을 건진다. 애니메이션 영화 ‘라따뚜이’의 한 장면이다.

생쥐 같은 동물에 비해 사람의 후각은 훨씬 떨어진다. 그럼, 컴퓨터는? 컴퓨터도 냄새를 맡을 수 있을까?

과학자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인공코 또는 전자코를 연구해 왔다. 사람의 코 안에는 솜털과 같은 섬모가 있다. 그 표면에 냄새 수용기가 있어 공기 속에 있는 냄새에 의해 자극되면 이를 전기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해 냄새를 판별한다. 인공코에는 탄소나노튜브 유전자(DNA) 등을 이용한 초정밀 바이오센서가 있다. 이 센서는 냄새 분자와 반응해 전기신호로 바뀌는데 컴퓨터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 이 신호를 해석해 냄새를 판별한다. 사람 코는 비슷한 냄새를 계속 맡게 되면 피곤해 냄새를 판별할 수 없지만 인공코는 휴식 없이 지속적으로 냄새를 판별할 수 있다. 음주운전 탐지기도 어찌 보면 원시적인 인공코다. 지치지 않고 끊임없이 운전자의 알코올 농도를 검사하지 않는가.

인공코는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오염물을 감지하는데 쓰이기 시작해 썩은 음식물뿐 아니라 가짜 음식물을 감지하는 데도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공코를 이용하면 식품의 수명 기간을 예측할 수 있어 유통 기한이 지난 식품을 속여 파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원산지를 속인 음식물도 감지할 수 있다. 인삼을 전자코에 대면 학습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냄새와 비교해 국내산인지 중국산인지 판명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가짜 향수도 잡아낼 수 있다고 한다. 인공코가 일반화되면 이제 '짝퉁'음식은 '꼼짝 마'신세가 될 것이다.

농업이나 군사용에도 이용할 수 있다. 무당벌레는 해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농사에 이롭지만 포도와 같이 묻어 들어가면 와인 맛을 망치기도 한다. 그런데 무당벌레가 위급한 상황에서 뿜어내는 가스 냄새를 인공코로 판별, 질 좋은 포도주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탈리아 육군에서는 독가스에서 폭발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위험 물질을 인공코로 탐지할 수 있는 국방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공항에서 개가 마약 등을 찾기 위해 코를 킁킁거리는 대신 탑승객이 공항 수색대를 지날 때 인공코가 킁킁거리며 검사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또한 영국의 스트래스클라이드대 연구팀은 사람이 숨을 내쉴 때 인공코가 공기의 냄새를 맡아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즉 숨을 내쉴 때 썩은 사과나 배의 시큼한 냄새 또는 아세톤 냄새가 나면 당뇨를 의심해야 하며, 퀴퀴한 생선 냄새가 나면 간 질환, 코를 찌르는 고약한 냄새가 나면 폐종양, 김빠진 맥주 냄새가 나면 결핵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기술이 가정용으로 상용화된다면 아침에 일어나 화장실에 가서 하품을 하면 화장실에 달려 있는 전자코가 주인의 건강 상태를 점검해 알려 줄 것이다.

인간을 모방하기 위해 인간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다. 미각과 촉각을 가진 컴퓨터도 나오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컴퓨터과학뿐 아니라 화학공학 및 전자공학 등의 통합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