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실용주의노선 채택-인민생활개선 金正日교시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은 김일성(金日成)사후인 지난 연초 인민생활개선을 최우선으로 하는 실용주의적인 경제노선을 확정하고 경제개혁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연초부터 5월 현재까지 취한 개혁조치는▲당.행정경제부서.문화예술단체.교육기구등 모든 기관에 대한 경제활동 허용및 식량수입 권한 부여▲개인식당의 운영 허용▲막대한 물자.노동력이투입되는 대규모 건설공사의 전면중단과 경공업분야 의 우선 투자▲농민들의 텃밭개간 허용 확대등이다.
〈관계기사 3面〉 이같은 조치들은 김정일(金正日)의 「교시방침」으로 북한전역의 각급기관에 하달돼 실행에 들어갔다고 북한 내부사정에 정통한 베이징(北京)및 동북3省의 유력 소식통들이 최근 확인했다.
북한은 또 경제개혁을 뒷받침하기 위해 7월 이후▲간부들의 대대적인 세대교체 단행▲특히 경제분야 간부의 경우 60세이하 전문가 등용의 방침을 세워 老간부들의 은퇴가 기정사실로 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소식통은 『도당.군당같은 당기관까지 자체적으로 경제사업체를 만들면서 당간부들이 「돈벌이」관념을 갖게 될정도로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며 『지금 북한은 78년 경제개혁에 착수하던 중국의 분위기와 비슷하다』고 말했다 .
이 소식통은 방일중인 이성록(李成祿)대외경제위 부위원장이 지금까지 대외적으로 계속 풍작을 이뤘다던 공식입장을 접어둔채 일본에 공식적으로 쌀 대여요청을 하게 된 것도 북한의 이같은 「실용주의노선 확정」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북한은 구체적 개혁작업을 대외적으로 극비에 부치고,공개적으로는 경공업.농업.무역제일주의라는 정책노선만 강조해왔다.
소식통들은 김일성사망 1주기를 맞는 7월이 지나면 외부에서도감지할만한 추가조치들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북한주민들은「7월이후 개혁說」에 기대를 걸고 있으며 경제간부들이『남한과의 교역을 늘려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어디서나 들을 수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