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정부 첫 국무회의 “장바구니 물가 특별대책 필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물가가 끝없이 오르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1년 전보다 3.6% 올랐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물가가 3% 이상 뛴 것만 벌써 5개월째다.

정부도 비상이 걸렸다. 3일 열린 새 정부 첫 국무회의는 사실상 ‘물가·서민생활 안정 대책회의’였다. 유류세를 10% 내려 휘발유 값을 L당 82원 낮추는 안도 의결했다. 이명박(얼굴) 대통령은 “(세계적으로 물가가 오르고 있지만) 국가마다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차이가 있다”며 “장바구니 물가가 중요하기 때문에 특별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끝 모를 물가 상승=소비자 물가보다 ‘장바구니’ 물가는 더 뛰었다. 통계청은 지난달 생활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4.6% 올랐다고 밝혔다. 생활물가지수는 서민 생활과 밀접한 152개 품목을 추려서 산출하는 지표다. 파(103%)·배추(76%)·감자(39%) 같은 농수산물 가격은 폭등세를 보였다. 국제 원유 가격 상승으로 액화석유가스(LPG)·경유·휘발유는 17~25% 올랐다.

게다가 정부가 인상을 억제하겠다던 공공요금까지 올라 물가 상승세를 부추겼다. 호적 등·초본이 가족관계등록부로 바뀌면서 500원 하던 수수료가 1000원으로 인상됐고, 지방자치단체가 인상률을 결정하는 하수도료는 8% 뛰었다. 대입학원비가 6% 올라 교육비 부담은 더 커졌다.

전체적으로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3.6%는 1월(3.9%)보다 낮지만, 이는 지난해 2월 물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나타나는 착시 현상이다. 최근 가격이 올라 2월 물가에 잡히지 않은 라면 값과 3월 새 학기 등록금 인상을 감안하면 물가는 앞으로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 이명순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고유가와 곡물 가격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소비자 물가는 3% 중반대에서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물가 회의된 첫 국무회의=기획재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주로 서민생활 안정 대책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례적으로 대책별 추진 일정을 날짜까지 구체적으로 밝혔다. 출퇴근 시간의 고속도로 통행료를 50% 인하하는 방안은 3월 31일까지 완료하겠다는 식이다. 무주택자가 시중 금리보다 싼 이자로 돈을 빌릴 수 있는 국민주택기금의 대출 금리도 5.2%에서 동결하기로 했다.

대통령의 지시도 구체적이었다. 이 대통령은 “유류세 인하가 실제 가격 인하로 이어지도록 하라”며 “소비 증대로 이어지거나 대형차를 타는 사람에게 혜택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대중교통요금 인상 억제를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1일 중소기업을 방문한 것을 소개하며 “원자재 값이 오르는데 제품 값은 오르지 않아 어려운 점이 있더라”라며 “중소기업의 신기술 제품에 대해 정부가 우선 구매를 해주면 좋겠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