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야재미있다>역전경주란-일정거리를 나눠 달리는 팀경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국토를 종주하는 제25회 경호(京湖)역전마라톤이 중반의 열기를 치닫고 있는 가운데「역전(驛傳)경주」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역전경주는 도로에서 벌어지는 팀경기로 일정한 거리를 몇개의 소구간으로 나누어 달린후 각 구간의 통과시간을 합산,순위를 결정짓는 장거리 이어달리기를 말한다.
역전경주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는데 마라톤 비시즌에 치러짐으로써 선수들의 기량향상과 마라톤 인재발굴등에 기여하고 있다.
일본이 한국보다 한발 앞서 마라톤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었던 것도 역전경주를 통해 수많은 꿈나무들이 발굴돼 체계적 조련을 받은 후 성인마라톤에 출전한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국내에서 최초로 열린 역전경주는 1923년 6월3일 한강인도교 준공기념으로 벌어진 경성일보 주최의 경인역전마라톤(서울~인천)으로 당시 배재고등보통학교가 첫 우승의 영예를 안았었다.
이후 많은 역전경주대회가 벌어졌으나 경인(京仁).경춘(京春)역전등은 사라졌고 현재는 중.고생을 위한 경호역전(목포~서울),진부(晋釜)역전(진주~부산),남녀 구간마라톤(대구),유관순열사기념역전(천안~병천),윤봉길의사기념역전(온양~충 의사),대통령기 통일역전(서울~임진각)등과 실업선수를 대상으로한 경부(京釜)역전(부산~임진각)이 개최되고 있다.
또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대회로는 92년 창설된 서울국제여자역전경주대회가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교통난의 심화가 역전경주의 난제로 등장하자 일본에서는 여러날 경기를 벌이는 대신 마라톤 풀코스인 42.195㎞를 5~7개 구간으로 나누어 하루에 마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이 방법의 도입을 적극 검토하 고 있다.
姜甲生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