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량제이후 수도권 山河 쓰레기 몸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쓰레기종량제 실시 이후 서울.경기.인천등 수도권 일대의 산과들,하천.도로변 등이 몰래 버리는 쓰레기 더미로 몸살을 앓고 있다. 14일 경기도 일선 시.군에 따르면 경기도용인군기흥읍공세3리 도로변 밭에는 4t트럭 10여대 분량의 건축폐자재및 냉장고등의 가전제품이 널려 있으며 반월.시화공단의 업체들이 몰래갖다 버린 것으로 보이는 유해 산업폐기물등을 비롯,유독 성 냄새가 채 가시지 않은 화공약품용 드럼등이 수도권 곳곳에 버려져있어 토양및 수질오염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용인군기흥읍 주민 李모씨(45.농업)는 『담당공무원들이 순찰을 돌고 주민들도 바로 신고하지만 하룻밤만 지나면 다시 허사가되고 만다』고 말했다.
용인군지역 외에 분당신도시 인근의 성남시대장동,성남~안양간 도로변,화성군매송면일대등도 사정은 비슷해 폐타이어.차량시트.폐가전제품.캐비닛등의 사무용기,도로공사에서 나온 아스콘조각등 폐건자재들이 무더기로 마구 버려져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용인군수지면 고기리저수지와 수원송죽동 일왕저수지 주변에버려져 있는 산업폐기물등은 비가 내리면 바로 저수지및 인근 농지로 유해성분이 스며들어 수질.토양오염의 정도가 심각한 상태다. 서울과 인접한데다 김포매립장으로 가는 길목인 고양시용두동 일대에서는 올들어서만 농지 3천42평에 4천여t의 쓰레기가 불법매립된 것으로 적발됐다.
고양시 도시행정계의 한 관계자는 『이들 지역의 쓰레기 불법매립및 무단투기는 수송비용과 매립비용을 줄이려는 청소대행업체들에의해 저질러 지고 있다』고 말했다.
고양시는 쓰레기 무단투기가 잦은 26개 취약지역을 선정,주민1백여명의 명예감시원과 기동단속반을 동원한 종합관찰제를 실시하고 있으나 적발될 경우에도 2백만~3백만원의 벌금만 내면 끝나는 1회성 단속에 그쳐 큰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