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마련 청약 지금은 느긋하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3면

분양시장 환경은 새 정부의 출범으로 불확실하다. 새 정부 역시 주택가격 안정을 강조하고 있고 분양 제도 변경도 예상돼 분양 시장이 청약자들로 북적대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렇다고 분양을 마냥 늦출 수만은 없는 업체들은 품질 등으로 시장을 헤쳐나갈 계획이다. 수요자들로선 더 좋은 상품을 고를 수 있게 됐다.

# 분양 시장은 안개 속

올해 분양시장에 안개가 끼어 있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부동산 제도가 달라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분양시장은 기존 주택시장과 연결돼 있어 기존 시장의 움직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새 정부 역시 주택가격 안정을 강조하고 있고 규제 완화 역시 안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집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꺾일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서도 취득·등록세 인하, 양도·종합부동산세 완화 는 위축된 수요를 다소 되살릴 것 같다.

분양제도의 큰 틀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민간택지에까지 확대 시행된 분양가상한제와 전매제한 강화가 분양시장을 좌우하고 있는데 이 부분들은 새 정부에서 신중하게 손을 댈 것 같다. 때문에 올해 분양시장에도 상한제 확대에 따른 분양가 인하 기대감이 크게 작용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지분형 주택이라는 새로운 주택의 등장도 변수다. 인수위는 9월께 선보일 예정이다. 분양가를 4분의 1로 낮춰 신혼부부에게 청약 우선권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젊은 주택수요자들에 ‘기다려보자’라는 심리를 갖게 할 것이다. 때문에 젊은층이 많이 몰렸던 소형 아파트 분양시장이 다소 타격을 입게 될 가능성이 크다.  

# 40만 가구 분양 계획 유동적

연초 업체들이 잡은 올해 분양물량은 전국적으로 대략 40만가구로 추정된다. 하지만 어느 해보다 유동적이다. 계획대로 실제 분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이다. 특히 민간택지에서 그렇다. 분양가상한제 확대 때문이다. 민간택지 물량은 지난해 12월 이후 분양승인을 신청하는 물량은 상한제 적용을 받는다. 사실상 올해부터 민간택지에도 상한제가 시행되는 것이다.

민간택지에 상한제가 시행되면서 초기에 혼란이 예상된다. 택지비·건축비 등의 산정을 둘러싸고 혼선이 빚어질 것 같다. 업체들은 상한제 적용을 받더라도 다른 단지들의 상한제 적용을 보고 사업을 벌일 것이어서 민간택지의 상한제 단지가 예상보다 적게 나올 수 있다. 민간택지에 상한제를 적용하더라도 분양가 인하 폭이 예상보다 적을 경우 전매제한기간만 늘어나 미분양을 걱정해야 할 것이 다. 업체들의 올해 분양계획 중 상당수 물량의 분양시기가 ‘미정’인 것은 이 때문이다.

공공택지 물량은 예정대로 분양될 것으로 예상된다. 어차피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는 것이고 분양이 늦어지면 금융비용 부담만 커지기 때문이다.

# 업체들 차별화로 승부

업체들은 주택 수요자들을 잡기 위한 묘안을 짜내고 있다. 무엇보다 새로운 기술 등을 개발, 품질로 분양 난을 돌파하겠다는 구상이다. 현대건설은 올해 분양하는 아파트에 첨단기술인 ‘유비쿼터스 키리스 시스템’을 적용키로 했다. 현관문을 열 때 ‘골든키’만 몸에 지니고 있으면 열리게 해 비밀번호를 입력하 는 불편함을 덜었다. 대림산업은 ‘오렌지 로비’로 장애인·노약자 등이 동 출입구의 계단을 오르내리는 불편을 없앤다. 동 출입구에 지면 높이로 승강기를 설치한다. 업체들은 외국의 유명 건축가 등과 손잡고 외관을 차별화하는 설계를 도입하고 로고 개선 등으로 소비자들에 대한 브랜드 호소력도 키울 계획이다.

상한제가 전면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아파트 위주의 주택사업 분야를 다양화하기도 한다. 대형 업체들도 저층 단독주택 단지인 타운하우스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타운하우스는 상한제 대상이 아니다. 업체들은 대규모 단지로 민간택지 상한제를 뚫는다. 소규모 개별 단지로는 수익성을 올리기 힘들어 도시개발사업 등 대단지에 주력하는 것이다. 포스코건설은 120만㎡ 규모인 대구 이시아폴리스 신도시에 대단지를 분양할 예정이다.

안장원 기자ahnj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