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어가 가족 같다면 프랑스어는 애인 같아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칠레에 사는 교민 김정화(37·여·사진)씨가 지난주 프랑스 파리에서 프랑스어 시집을 냈다. 프랑스 교민도 아니고, 남미에 사는 한국인이 프랑스어로 시집을 냈다는 게 흥미롭다.

 프랑스 베네방 출판사가 지난주 출간한 『노스탤지어의 전력(前歷)』에는 김씨가 대학 시절부터 최근까지 20년 가까이 쓴 시가 담겨 있다. 놀라운 점은 김씨가 이미 한국어와 스페인어로도 시집을 냈다는 점이다. 칠레에서 스페인어로 출간한 『존재의 거품』과 여러 명의 시인이 함께 낸 한국어 시집 『그의 하늘이 이슬을 내리는 곳』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시집 출간이다.

 김씨가 시를 쓰게 된 건 고등학교 때 프랑스 시인 자크 프레베르를 알게 되면서였다. 프랑스어 선생님이 유난히 프레베르의 시를 좋아해 함께 쓰고 외우고 한 게 계기가 됐다.

 대학에서는 스페인어를 전공했지만 프랑스 시에 대한 애정은 사라지지 않았다. 특히 한국어로 시를 쓰면 누가 볼까 걱정스러워서 프랑스어로만 시를 썼다고 한다. 대학에서 부전공으로 프랑스어를 계속 공부하면서 시 언어를 살찌웠고, 시를 쓰면서 다시 프랑스어 실력이 커졌다.

 그러면서 깊이 있게 문학을 공부하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유학을 결심하게 된 건 졸업하고 2년이 지난 1996년이었다. 프랑스 유학도 생각했지만 4년간 전공한 스페인 문학에 대한 미련도 쉽게 버릴 수 없었다.

 김씨는 교수들의 추천에 따라 국립 칠레 대학으로 유학길에 올랐다. 한국인 칠레 유학생 1호라는 그는 중남미 문학을 전공해 올해 말 박사 논문을 낸다.

 칠레에서 14년을 살면서 그의 삶은 많이 달라졌다. 대학 교수인 칠레 남자와 결혼했고 두 아들을 뒀다. 한국 음식에 대한 그리움보다 칠레 음식에 대한 만족스러움이 더 커지기도 했다. 스페인어는 한-칠레 FTA 회담과 전직 칠레 대통령 등의 통역을 전담할 정도로 능통해졌다.

 그러나 칠레에서도 프랑스어와 시에 대한 사랑은 달라지지 않았다. 칠레에서도 프랑스어에 대한 미련은 버릴 수 없어서 칠레 프랑스 문화원의 프랑스어 강의 과정을 10년 넘게 듣고 있다. 그의 남편도 문화원에서 만난 친구가 소개했다. 김씨에게 스페인어와 프랑스어는 어느 것 하나 놓칠 수 없는 보물이다. 그는 “스페인어가 편안한 가족 같다면 프랑스어는 나를 늘 설레게 하는 애인 같다”고 표현했다.

 그는 “시를 쓰는 건 큰 즐거움이지만, 때론 말할 수 없는 고통이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스페인어와 프랑스어로 시를 쓰는 일은 평생 계속하고 싶다고 했다. 그에게 시를 쓰는 일은 ‘영혼의 산소’ 같은 것이어서란다.

파리=전진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