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부산 '30분 시대' 열린다

중앙일보

입력

내년 이맘때면 울산에서 부산 해운대까지 30분이면 갈 수 있게 된다. 부산~울산고속도로가 내년 말 개통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울산에서 부산까지는 승용차로 1시간이나 단축된 30여 분이 걸린다. 이에 따라 양 도시의 물류가 더욱 원활해지고 교류도 훨씬 확대될 전망이다. 울산과 부산의 동일 경제권 통합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일 생활권 형성에는 원활한 교통이 필수적이다.

교량 69개·터널 6개 현재 공정률 80%
물류비용 연 1370억 절감

 
■부산 해운대까지 30분=부산~울산고속도로는 2001년 착공해 내년 말 완공할 예정이다. 애초 정부 재정사업으로 시작했다가 지난해 8월 국민연금이 사업비 대부분을 투자하는 민자사업으로 전환했다. 총 사업비는 1조3403억 원. 이 중 민간자본은 1조원 규모다. 개통되면 2009년부터 30년간 민간기업이 운영한다. 예상 통행료는 전 구간 기준 3000원이다. 총 연장은 47.2㎞로 다른 고속도로에 비해 그리 길지 않은 편이다. 고속도로는 울산시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에서 시작해 부산시 해운대구 좌동에서 끝난다. 차로는 4~6차로다. 부산 송정TG~해운대구 좌동 구간(6.3km)이 4차로, 나머지는 6차로다. 교량은 69개, 터널은 6개다. 현재 공정은 80%를 보이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현재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돼 내년 이맘때면 예정대로 개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울산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울산에서 부산 해운대까지 30분이면 갈 수 있게 된다. 현재 울산에서 부산 해운대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1시간 30분 정도.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1시간이나 단축돼 울산시민의 부산 이동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30분이면 출퇴근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사회·경제·문화 재편=고속도로가 개통되면 국내 최대의 항만인 부산과 산업 허브인 울산이 동남해안을 따라 직선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경부고속도로나 국도 중심의 물류체계가 크게 개선된다. 부산~울산의 동해안 산업물동량 수송이 원활해진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고속도로 개통으로 연간 1370억 원의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울산과 부산의 ‘한 살림’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속도로 개통으로 울산·부산이 행정적 경계를 넘어 동일 생활권·경제권으로의 통합이 빨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부산~울산고속도로 주변 지역의 개발도 촉진될 것으로 보인다.
 
■울산 인구 유출될까?=고속도로 개통으로 울산 인구가 부산지역으로 유출되는 역기능이 우려된다. 해운대의 교육·관광 환경이 울산시민을 유입할 요인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과 해운대의 중간에 위치한 정관 신도시로 이사하는 울산 주민도 많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부터 울산지역 일부 주민들이 자녀교육과 높은 집값 문제로 부산 해운대 신시가지로 이사하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다. 남울주발전협의회는 지난해 울산의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1019만 원으로 부산시에 비해 크게 상승하면서 울산시민들이 정관신도시 등으로 빠져나가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울산지역의 상권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지역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울산의 쇼핑센터·학원·의료기관 등이 고속도로 개통으로 고전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고속도로 개통 초기에 이 같은 현상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울산·부산이 더욱 가까워져 상호 이득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교육·집값 문제로 울산에서 부산으로 이사를 하는 주민들이 있겠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균형을 이룰 것이라는 전망이다.
 
■부산·울산·경남 한 생활권 인식=부산·울산·경남발전연구원이 공동 수행한 연구 결과 부산·울산·경남 주민들은 46.8%, 지역전문가들은 55.3%, 제조업체 기업인들은 67.8%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이상이 부산·울산·경남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002년의 같은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쪽이 더 많았다. 부산·울산·경남발전연구원은 최근 ‘동남광역권 구축 토론회’에서 부울경이 광역권을 형성하기 위한 우선 과제로 교통망 등 인프라 구축을 꼽았다.

프리미엄 김관종 기자 istor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