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폐기물 대책 시급 재활용시설 6곳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최근 재개발.재건축이 활성화되면서 콘크리트.아스팔트등 건축폐기물이 급증,환경오염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상당수 건설업체들은 관계 규정을 무시하고 도시 외곽의 농지.임야등에 함부로 폐기물을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부에 따르면 올 한햇동안 발생하는 건축 폐기물은 1천2백만여t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전국의 건축폐기물 재활용 시설은 6개에 불과,거의 대부분이 그대로 땅속에 묻히거나 투기되고 있는 형편이다.
건설부와 환경처는 지난 1월「건설폐재(廢材)배출사업자의 재활용지침」을 고시,연간 도급액이 2백50억원 이상인 건설업체들이재활용계획서를 건설부에 보고토록 하는 조치를 취한바 있다.
이들 건설업체가 재활용을 하지 않을 경우 발주자가 시정명령을내리고 그래도 이행하지 않을 경우 3백만원의 과태료를 물도록 하는 것이 주요 내용.그러나 이 조치도 사실상「권유」수준을 벗어나지 못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다 올해 건축폐기물 추정량 1천2백만t가운데 3분의1인4백만t은 도급액이 2백50억원 이하인 중소업체의 공사에 의한것이라 효율적인 관리를 꾀하기 어려운 것으로 지적된다.
〈朴義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