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특별수사본부는 내주에 가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검찰은 22일 삼성그룹 비자금 조성과 불법 로비 의혹을 수사할 특별수사감찰본부(본부장 박한철 검사장) 수사팀을 짰다.

수사팀장은 3명이다. 특본은 이번 주 내로 검사 15명, 수사관 40여 명으로 수사팀 구성을 끝내고 다음주 수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3개 수사팀 팀장(부장검사)은 강찬우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장, 김강욱 대검찰청 중앙수사부2과장, 지익상 서울북부지검 형사3부장이 맡게 됐다. 특본의 부본부장인 김수남 차장검사는 "특별수사 경험과 자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인선했다"고 말했다. 각 팀에는 대검 중수부 소속 검사와 지검 특수부 소속 평검사 3~4명이 배치된다. 최근 검찰이 총력을 쏟고 있는 BBK 의혹 사건에 투입된 검사가 7명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수사팀은 특수부 2~3개를 합쳐 놓은 대규모다.

특본은 이번 사건을 ▶비자금 조성▶불법 로비▶불법 경영권 승계의 세 갈래로 나눠 수사할 계획이다. 비자금 조성과 불법 로비 의혹은 김강욱.지익상 부장검사가, 경영권 승계 부문은 강찬우 부장검사가 맡게 된다.

김 차장검사는 "강 부장검사는 에버랜드 전환사채(CB) 저가 발행 의혹 사건을 담당했던 점을 고려해 삼성그룹의 경영권 승계 의혹 수사를 맡겼다"고 말했다.

그는 "비자금 조성과 불법 로비는 동전의 양면과 같아 수사 과정에서 두 개의 팀이 업무 분담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차장검사는 삼성그룹의 관리 대상 검사 명단과 관련, "검찰 내부에 누가 있다는 말이 있지만 특본은 독립적 기구인 만큼 자유롭게 법과 원칙에 따라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검찰이 위기에 봉착한 만큼 철저하고 객관적으로 공정하게 수사한다는 각오"라고 덧붙였다.

◆특검 꾸려지면 수사 넘겨=그러나 국회 법제사법 소위원회가 이날 '삼성 비자금 의혹 관련 특별검사 임명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키면서 특본의 수사가 어디까지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특검 조직이 구성돼 수사 대상 사건에 대한 자료를 요청하면 특검법에 따라 사건을 넘겨주고 수사에서 손을 떼게 된다. 김 차장검사는 "특검법이 국회 본회의(23일)를 통과할 경우 (수사 계획을) 심도 있게 검토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회의 특검 도입 취지를 존중해야 하는 점과, 최대한 수사를 해 넘겨줘야 할지 등에 대해 생각 중"이라고 덧붙였다.

일단 특본은 특검법 통과 여부와 상관없이 강도 높은 수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특검이 도입되더라도 특별검사를 지명하고 수사팀을 꾸리는 데 한 달여의 시간이 걸린다.

대검찰청 관계자는 "특검이 꾸려지는 데는 최소 한 달여의 시간이 걸리므로 이때까지는 검찰이 충실히 수사해 특검에 자료를 넘겨주는 것이 원칙"이라고 말했다.

김승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