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직원, 정동영 캠프에 BBK 정보 제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나라당 공작정치분쇄특위 위원장인 박계동 의원은 15일 "국정원의 BBK 사건 자료 등 이명박 후보 관련 정보들이 대통합민주신당 측에 제공됐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원 부패척결 태스크포스(TF) 소속 5급 직원 고모씨 등 국정원 직원 5~6명이 지난해 2월부터 신당 정동영 후보의 사무실을 수시로 드나들었다"며 "이중 고씨는 신당 전문위원인 김모씨와 120여 차례 e-메일을 통해 BBK 사건에 대한 자료와 정보를 주고받았다"고 말했다. 박 의원 측은 "국정원 직원들의 정 후보 캠프 출입은 국정원 국정감사에서 확인했다"며 "고씨와 김씨의 정보 교류는 검찰 수사 결과"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검찰은 김씨의 집을 압수수색해 ▶BBK 관련자 진술 자료 ▶BBK에 투자했던 하나은행 내부보고서 등 이 후보 관련 자료 15건을 찾아냈다"고 덧붙였다.

고씨는 8월 한나라당에 의해 고발돼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이 밖에 공작정치분쇄특위는 "기양건설 부회장이었던 연모씨가 이번 대선을 앞두고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선데이 저널'이란 주간지를 창간해 이 후보의 BBK 사건 연루설을 퍼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위에 따르면 연씨는 2002년 대선 때 범여권 인사들과 짜고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후보의 '기양건설 비자금 10억원 수수설'을 유포한 인물이다.

한나라당 정형근 최고위원은 강원지역 필승결의대회에서 "범여권 중진의원이 LA에서 김경준 전 BBK 대표를 구하기 위해 TF를 꾸려 진두지휘하고 있다는 정보가 있다"며 범여권과 김경준씨의 유착 의혹을 제기했다.

한편 한나라당 홍준표 클린정치위원장은 "김경준씨가 귀국해도 수사 관행상 이 후보와의 연관성 수사는 대선 후보 등록기간(25~26일)을 넘어서야 진행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하지만 후보 등록 이후 시작되는 선거운동 기간 동안은 선거법상 후보를 소환할 수 없다"며 "검찰이 중립적으로 수사를 하는지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공작정치분쇄특위 주장에 대해서도 신당 선거대책위 김현미 대변인은 "박계동 의원의 주장은 한 편의 소설"이라며 일축했다.

◆국정원, "법적 대응할 것"=국정원은 박 의원의 주장에 대해 "사실 무근이고 터무니없다"며 "국정원의 명예를 훼손한 데 대해 민.형사상 법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