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사건 내년 60주기 앞두고 다양한 사업…평화공원 위용 드러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제주4·3사건 60주기가 되는 내년을 앞두고 유해발굴·기념사업 움직임이 활발히 벌어지고 있다. 사진은 4·3사건 당시 다수의 양민이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제주시 용담동 제주공항 내 옛 ‘정뜨르비행장’ 터에서 진행된 유해발굴 현장. 14일 당시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36구의 유골이 수습됐다. [연합뉴스]

제주 4·3사건 60주기인 내년을 앞두고 재조명·기념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4·3특별법에 따른 피해자 신고·접수가 마무리 단계로 들어갔고, 유해발굴사업도 한창이다. 또 제주도와 유족회 등이 추모공연·위령제 준비를 시작하면서 60주기 기념행사의 윤곽도 드러나고 있다.

◆유해 발굴과 피해자 신고 활발=희생자·유족 신고가 이달 말로 마무리된다. 2000년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시행 후 접수해 확정한 희생자는 1만3564명, 유족은 2만9239명이다. 올 들어 6월부터 지난 달 말까지 추가 접수자는 희생자 456명, 유족 291명 등 747명이다.

도는 또 당시 암매장한 것으로 추정되는 곳들을 대상으로 유해발굴 사업을 벌이고 있다. 8월부터 제주대와 공동으로 제주공항 안 옛 ‘정뜨르비행장’ 터에서 발굴조사를 하고 있다. 당시 사망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뼛조각 141점과 탄피 등 160점을 찾아낸 데 이어 14일엔 유골 36구를 찾아냈다. 연초에는 제주시 화북동 등 5곳에서 11구의 유골과 360여점의 유품·유해를 수습했다.

도는 2009년까지 11곳에서 유해를 발굴, 유전자 감식 등을 통해 유족을 찾아 줄 예정이다.

평화공원 안에 들어설 사료관. 연말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이다.

4·3평화공원도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 공원은 ‘공동체적 보상’의 차원에서 정부가 지원해 2002년부터 제주시 봉개동 39만6000㎡에 조성 중이다. 현재 위령제단·위령탑이 들어섰고, 연말이면 사료관이 완공된다. 지금까지 592억원이 들어갔다. 도는 내년부터 401억원을 투자, 평화관과 상징조형물 등을 갖춰 2010년 공원 조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진창섭 제주4·3사업소장은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한편 화해와 상생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평화공원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60주기 행사 윤곽=제주도와 제주4·3연구소 등 관련 단체들은 이달 말 각계 인사로 ‘4·3 60주년 기념사업회’를 구성, 재조명·기념사업을 추진한다.

 제주도 현지에서는 내년 3월28일부터 4월11일까지 제주시 중앙로와 관덕정 일대에서 전야제와 ‘해원상생’ 굿판을 벌인다. 또 아시아평화연대 네트워크가 참여하는 국제심포지엄과 4·3사건의 도화선이 됐던 ‘3·1관덕정 시위사건’을 재현한 거리굿을 준비 중이다.
문화예술축전을 비롯해 서울과 일본 도쿄·오사카를 오가는 순회 공연과 기념식도 계획하고 있다.

박찬식 4·3연구소 상임이사는 “60주년이 되는 4·3은 이제 어떻게 후세대에게 전달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비극을 겪은 뒤 타국 땅에 나가 사는 동포들의 아픔까지 껴안는 기념사업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성철 기자
 

◆4·3사건=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 전후로 주민 2만~3만명이 숨진 참극이다. 4·3특별법은 “47년 3월 1일(3·1절 기념식 시위사건)을 기점으로 48년 4월 3일에 발생한 소요사태, 토벌작전이 끝나 ‘한라산 금족령’이 해제된 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