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R&D 체제 이렇게 고치자] 中. "기술력이 국가 경쟁력 R&D 힘껏 지원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6면

지난달 30일 임명장을 받은 박기영(46.사진) 신임 대통령 정보과학기술 보좌관은 본지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불협화음 없이 연구개발 관련자들이 혼연일체가 되어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보겠다"고 취임소감을 밝혔다. '불협화음 없이'란 부분을 유독 강조했다.

연세대 생물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순천대 교수로 재직해온 朴 신임보좌관은 노무현 대통령이 대선후보로 활동하기 이전부터 인연을 맺은 인물. 2001년 출범한 '노연(盧硏.노무현과 함께하는 연구자)'이란 조직에서 환경문제를 맡았었다. 盧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대통령직 인수위원으로 활약했다.

-이공계가 주목받고 있는 시기에 중책을 맡았다.

"여러가지로 혼란스런 시점에서 임명돼 부담스럽다. 盧대통령의 관심이 커서 더욱 그렇다. 우선 연구개발 관련부처들의 기술혁신에 대한 의지가 적극적인 만큼 힘껏 지원하겠다. 보좌관실이 조율할 일이 있다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겠다. 부처 간의 경쟁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의 경제구조가 경쟁력을 갖추는 길은 기술혁신 뿐이다. 구조나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면 당연히 점검할 것이다. 구체적인 개선책에 대해선 일단 살펴봐야 할 것 같다. 평가관리를 잘 할 수 있는 제도들, 국가 연구개발(R&D)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 연구개발 지원정책 등이 있을 것이다."

-과기부 장관의 부총리급 격상 이후 보좌관의 역할은.

"지금보다는 과기부의 역할이 커진다고 봐야 한다. 그것이 盧대통령의 뜻이다. 과기부가 더 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보좌관실의 임무다. 아직 구체적인 밑그림이 없어 세부적인 역할에 대해서는 말하기 힘들다."

-교수 출신으로서 현실감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국내에서 학위를 받고 20년 넘게 연구활동을 벌여왔다. 그동안 비정부기구(NGO) 활동이나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수석간사 역할을 통해 현실감이 부족한 단점을 많은 부분 극복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단점을 극복하는데 노력할 것이다."

-지역균형발전에 힘을 실어왔다.

"기술혁신을 통해 경제활성화를 앞당긴다는 盧대통령의 생각은 변함이 없다. 경제활성화를 통해 국가경쟁력 제고는 물론 지역균형발전까지 꾀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지역균형발전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를 알고 있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 기업수의 부족 등 시스템적으로 문제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인프라 개선과 함께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를 함께 풀어야 한다. 즉 기술혁신 의지를 함께 키워나가면서 기업이 많이 들어설 수 있는 시스템을 정부가 만들어야 한다. 기업유치가 먼저인지, 기술혁신이 먼저인지 앞뒤를 가릴 수는 없다. 지금 현재의 위치에서 가능한 것부터 노력해야 한다. 지역마다 나름대로 특화된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과학기술계의 가장 시급한 현안은.

"이공계 사기와 연구성과 효율이 동반상승해야 한다. 연구성과를 효율적으로 내기 위해서는 성과의 경제적인 가치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 연구효율이 좋아지다 보면 연구현장의 분위기 또한 개선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이공계에 대한 인식이나 처우환경이 나아지면서 경제적 대우 또한 좋아질 것이다. 이공계 기피현상을 헤쳐나가기 위해선 인력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과학교육의 양적.질적 불합치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주로 교육부가 나서겠지만 과학기술이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의견을 관철하겠다."

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