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정상회담 두차례 개최”/수행원 백명·기자 80명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내일 실무접촉때 북에 제의키로/통일안보정책회의서 대책마련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절차를 논의할 실무접촉이 1일 판문점에서 열린다.
이 접촉에서 남북은 지난 28일 정상회담 예비접촉에서 미처 합의하지 못한 정상회담의 ▲의전문제 ▲대표단 구성 ▲회담형식 ▲신변안전보장 ▲왕래절차 ▲편의보장 ▲선발대 파견 ▲취재단 구성등 부수적인 문제들을 논의한다.
정부는 30일 오전 삼청동 남북대화사무국에서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고 7월1일 판문점 대표 접촉에서 북측에 제시할 우리측 실무절차안을 확정했다.
이홍구부총리겸 통일원장관이 주재한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정상회담은 배석자 없는 단독 정상회담으로 하고 ▲체류기간중 두차례의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북측에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대표단 규모는 수행원 1백명,취재기자단 80명등 모두 1백80명 규모로 제안할 방침이다.
김형기 통일원 대변인은 이날『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양측이 합의해야할 대표단 규모·형식·신변안전·편의보장·의전등 모든 문제를 세밀하게 점검했다』며 『우리측은 북한이 지난 예비접촉에서 보여준 바와같이 내일 열릴 대표접촉에서도 협조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신변안전보장 ▲왕래절차 ▲편의보장 문제등에 대해서는 지난90년부터 92년까지 8차례에 걸쳐 진행된 남북고위급회담의 전례를 따르되 일부 수정할 계획이다.
고위급회담 당시 남북한은 자기측 지역에 오는 상대측 인원의 신변안전을 보장하는 각서를 교환했으며,왕래절차는 판문점을 통과해 상대측 지역으로 이동하되 교통수단은 비행기·자동차·열차 등으로 정했었다.
또 숙식·교통·통신등 편의는 초청측이 모두 부담키로 했었다.
김대변인은 또『양측은 국가간의 관계가 아닌 민족내부의 특수 관계로 국기 게양등은 하지않을 것이며 이번 정상회담의 의전과 경호 절차는 제3국과의 정상회담 경우에 준하게될 것』이라며 『정부는 이 문제가 흐지부지 되지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실무회의 대표로 윤여준 국무총리 특보,수행원으로 구본태 통일원 통일정책실장,엄익준총리보좌관을 확정했다.〈강영진·최원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