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산물유통구조해부>6.미국-도매상이 가격결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미국의 농수산물 유통과정은 한국의 그것과 매우 다르다.우선 경락제도가 아니다.따라서 유통과정에서의 브로커가 하는 일도 한국 중매인들의 역할과 다르다.
미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밀집해 사는 뉴욕 메트로폴리탄지역에 농산물을 공급하는 헌츠포인트 식품분배센터는 3백29에이커의땅에 자리잡고 있는 세계최대규모의 농산물 유통센터다.60년대에설립된 이후 1만2천명가량의 인원이 연간 70 억달러어치(5조6천7백억원)의 농산물을 취급해 왔다.
이 분배센터안에는 육류나 화훼등의 유통조직이 각각 있는데,이중에서 우리 실정과 관련해 가장 참고할만 대상은 청과물도매시장이다. 원래는 뉴욕시가 땅을 대고 건물을 지어 직접「공영시장」으로 운영했었다.그랬던 것이 적자가 쌓이고 유통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해 결국 지난 86년에 민간도매업자들에게 임대해 주고 말았다. 시장의 관리 운용은 별도의 전문 용역회사에 맡겨서 하지만,실질적인 시장의 주인은 도매상들로 구성되는 협동조합이다.
뉴욕시가 이 도매상들로 구성된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임대를 준 것이다. 시장을 이끌어가는 주체가 달라진 것뿐 아니라 가격결정방법도 바뀌었다.종래의 경락제도를 없애고 도매업자들 스스로가 임의로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바뀐 것이다.한마디로 농산물의수급과 가격 결정은 도매상들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협동조합 회원인 70~80개 도매상들은 각기 産地 수집상들을통해 물건을 확보하고 수급사정에 따라 적절한 가격을 매긴다.품목에 따라 수집상이나 브로커들을 통해 살때도 있고 산지에서 직접 사들이기도 한다.이를테면 사과 같이 거래단위 가 큰 경우는유명한 사과재배지인 워싱턴주의 사과생산자와 직접 거래한다.
그러나 이들 마음대로 가격을 올리고 내리는 것은 아니다.소매상들을 상대로 경쟁해야 하므로 어느 도매상이든 가격경쟁을 도외시할 수 없게 되어 있다.특히 과일의 경우 이곳 헌츠 포인트 청과물 시장을 찾는 소매상들의 60%가량이 한국사 람들인데,이들의 말에 따르면 도매상들의 담합이 불가능할 정도로 가격경쟁이치열하다고 한다.
뉴욕의 사봉진 청과상조회 봉사실장은 이렇게 설명했다.
『한국의 경락제도 자체를 일방적으로 나쁘다고 말할 순 없겠지요.그러나 이곳에서처럼 도매상이 가격을 결정한다고 해서 일방적으로 비싸게 받을 순 없습니다.소매상들이 이곳에 오면 시장 전체를 한바퀴 돌면서 가격비교를 세세하게 하고 나서 상대적으로 싼 곳을 찾아가니까요.』 더구나 컴퓨터를 통해 거래 농산물 수급에 대한 무수한 정보가 공급되기 때문에 공급자 위주의 지나친가격책정이 어렵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따라서 도매상들도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저마다 다른 가격을 매겨 놓고 있으며 소매상들은 제품의 품질과 가격등을 비교해서 사간다는 것이다.
뉴욕에서 농산물유통문제를 연구하고 있는 김홍태씨(뉴욕시장유통전략연구소장)는 경락제도 자체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경락제도를 통해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 시장경쟁원리에 오히려 부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농산물의 가격을 경매제도를 통해 결정하는 것은 미국을 비롯해 선진국에선 급속히 줄어드는 추세입니다.공급자를 대표하는 도매상들과 소비자를 대표하는 소매상들이 직접 시장에서 만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지요.』 경매제도 자체가 농산물 특유의 다양한가격체계에 상당한 인위적인 제약을 가하고 있다는 것이다.중개인들의 역할에도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농산물의 가격이란 아침 다르고 저녁다른 것인 만큼,그때그때 시장에서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탄력적 으로 결정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이야기다.
미국에도 물론 브로커(중매인)가 있다.그러나 시장은 어디까지나 도매상을 중심으로 끌어 나가는 것이고 이들은 보조세력이다.
수수료만 해도 취급 물량에 따라 가변적이며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별게 아니다.
미국의 도매상들은 기본적으로 오랫동안 힘을 쌓아 온 세력집단이다.3~4대를 물려 오면서 이분야에 깊이 뿌리를 내려 온 경우가 대부분이다.이들은 주요 産地를 확보하고 있는 것뿐 아니라수집상과 브로커들을 통해 거미줄 같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것이다. [뉴욕=李璋圭특파원] 〈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