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Local inside에 한 마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교육중심 부산의 비전을 함께

설동근 부산시 교육감

중앙일보는 부산교육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부산발 교육혁명’ 을 비롯해 ‘부산발 걷기 혁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육 기사를 보도, 공교육의 희망을 독자 및 부산시민들에게 안겨 주었습니다. 지방면 부활을 계기로 해양문화도시 부산, 교육공동체가 함께하는 교육중심도시 부산의 비전을 독자들에게 제시해 주시고, 밝은 소식으로 교육가족은 물론 시민들에게 더욱 사랑받는 언론으로서 도약하길 기원합니다.

◆교육에 희망 불어넣는 지면을

고영진 경남도교육감

그동안 많은 기사를 독자들에게 전달했지만 정작 지역소식은 많지 않았습니다. 특히 교육의 중요성을 내세우면서도 교육기사를 찾아보기란 하늘의 별따기였습니다.

경남교육청은 교육관련 뉴스를 57만명의 학생과 학부모, 경남도민들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었습니다. 경남교육 발전을 위한 건전한 비판을 담은 기사를 많이 게재해 주기 바랍니다. “교육이 희망이다”는 저의 신념처럼 우리 학생들이 건전하고 바르게 자라도록 아낌없는 관심을 기대합니다.

◆울산 현안에 주목하는 계기로

김철욱 울산시의회 의장

지역균형발전은 지방자치 시대의 화두입니다.

중앙일보의 지방면 발행은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울산지역 현안과 문제들이 집중적으로 조명받고 더욱 높은 차원에서 해결책이 모색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지방자치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시의회를 대표해 환영합니다. 중앙일보가 전국지로서 국가적 차원의 나침반이자 길잡이 역할을 해왔듯, 지방차원에서도 그동안 쌓은 명성에 걸맞은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합니다.

◆지방과 중앙의 고리 역할 기대

박성호 창원대 총장

언론은 정보를 단순히 전달하는 도구이기도 하지만 정보창출을 위해 적절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는 포럼의 역할도 있습니다. 부활된 지방면이 지역주민의 여론을 모으는 구심체 역할을 하면서 ‘중앙에서 지방으로, 지방에서 중앙으로’의 고리역할을 해주기 바랍니다. 더불어 우리 주변의 진실하고 아름다운 이야기들을 많이 소개해 따뜻하고 인정이 넘치는 사회, 한번쯤 살아 볼 가치가 있는 세상이라는 것을 널리 알렸으면 합니다.

◆젊은이에 일자리 견인차 되길

박동순 동서대 총장

지방대학이 세계 대학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줬으면 좋겠습니다. 대학의 발전 방향과 성과, 학생 취업 문제 등에 대해 격려해주고 좋은 대안을 제시해줬으면 합니다. 부산에 사람과 기업이 다시 모여 경제적·문화적으로 번창하는 데 큰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합니다. 부산의 학생들이 지역 대학에 자랑스럽게 진학하고, 졸업 후 원하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도시로 발돋움하는데 견인차가 되길 기대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